충남도내 상수도관의 상당 구간이 노후관로로 나타나 체계적인 노후관 관리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후관로는 통상적으로 매설된지 20년 이상의 ‘노후화’된 관로를 의미한다.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상수도관망 총연장 8466㎞ 가운데 20년 이상 노후관망은 2738㎞로 집계됐다. 이는 도내 전체 상수도관의 32% 수준에 이르는 수치이다.

특히 수돗물이 직접적으로 가정에 공급되는 마지막 관로인 급수관 3445㎞ 중에서 47.3%인 1634㎞가 노후관로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노후관로의 대부분은 이물질이나 누수, 적수 등의 문제점을 동반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질 좋은 물 공급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아울러 노후관로의 갱생 및 교체작업은 유수율과 누수율을 결정짓는 핵심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유수율은 공급된 수돗물 가운데 실제적으로 요금이 걷힌 물의 양을 나타낸다.

실제 누수율은 부여군 36.9%, 예산군 35.9%, 태안군 30.4% 등으로, 공들여 생산한 다량의 수돗물이 대책 없이 새어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관로가 오래되다보면 이물질이나 쌓이고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특히 적절한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누수율이 증가해 지방자치단체의 수돗물 수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후관로 개·보수 및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은 요원하다.

도내 노후관로 보수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은 전무한 상황이고, 도비 지원 역시 3억 원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각 기초단체에서 도맡아 처리할 수밖에 없는데 기인한다.

이에 따라 각 시·군에서는 누수율을 줄이고, 노후관 갱생 및 개·보수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가용예산으로 인해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공재’ 성격을 지닌 수도요금이 생산비의 70% 수준에 머물고 있어 대부분 지자체 수도 사업은 만성적인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시설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고, 또다시 적자가 발생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지자체는 노후관 관리에 관한 별도예산도 수립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A군 관계자는 “누수율도 높고 30년 이상 된 노후관들이 많다”면서 “원천적으로 상수도 사업에 국비지원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사업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상수도 관로정비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이지만 즉각적인 성과가 나지 않아 후순위로 밀려난 상태”라면서 “해당 수도사업자인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의욕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