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청주·청원통합시 출범을 목표로 양 시·군의 공조체계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공통 현안사업을 두고 주도권을 잡기 위한 양 시·군의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청주·청원통합이 양 단체장의 공약사항인 관계로 갈등 또는 불만이 겉으로 표출되는 것을 피하고는 있으나 그동안 내재돼 있던 적대감이 쉽사리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게 양 시·군 직원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민선5기 출범 이후 양 시·군의 갈등이 표면으로 불거진 첫 번째 사례는 오송역 명칭.

오는 11월 준공되는 고속철도역인 오송역의 정식 명칭을 놓고 '청주 오송역'을 주장하는 청주시와 '오송역'을 주장하는 청원군이 미묘한 신경전을 벌였다.

결국 '오송역'으로 최종 결정은 났으나 시는 대승적 차원에서 겸허히 수용한다면서도 지역인지도를 생각했을 때 '청주오송역'이 당연한 것 아니냐며 여전히 아쉬워하고 있다.

반면 군은 철도역명 제정기준에 따라 해당지명을 사용하도록 돼 있는데 시가 괜한 생트집을 잡아 분란을 일으켰다며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최근 시가 추진한 흥덕구 분구 또한 군의 반감을 사는 작용을 했다.

지역 최대현안인 청주·청원통합이 되면 분구가 불가피하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시가 일방적으로 분구를 추진하는 것은 지역정서와 정면으로 대치되는 처사라는 것.

결국 정정순 부시장의 "청주·청원통합과 맞물려 흥덕구의 개편은 당장 어렵다"는 말로 일단락되기는 했으나 이를 바라보는 군의 반응은 냉담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군 공무원은 "만약 분구가 돼 인력충원이 되면 향후 통합 이후 인력감축이 불가피한데 그 피해가 고스란히 군 공무원들에게 올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앞에서는 통합을 외치면서 배신감마저 든다"고 비난했다.

현재 추진중인 시-군 인사교류도 갈등의 씨앗을 안고 있다.

양 시·군은 이달 중순경까지 5급 2명, 6급 3명, 7급 3명 등 모두 8명의 인사교류를 추진키로 하고, 인사교류 업무 및 담당부서에 대한 협의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교류대상 부서와 교류직급에 대한 입장이 다소 달라 추가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인사교류에 대한 직원들의 호응이 그리 높지 않아 양 시·군이 이같은 입장차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최대 관건이다.

이처럼 청주·청원통합이라는 대명제를 앞에 놓고 있음에도 양 시·군의 물밑 신경전이 잇따르자 일각에서는 지역민들의 해묵은 갈등을 중재해야할 공무원들이 오히려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한 지역인사는 "양 시·군이 목표로 하는 것이 청주·청원통합이라면 공무원들은 당연히 통합을 전제로 행정을 추진해야 하는 것"이라며 "서로 역지사지하는 입장에서 요구가 아닌 한 발 씩 물러서는 배려가 우선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