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10여년 전부터 오송바이오메카 육성을 위해 착실히 준비해왔다. 2003년 오송바이오엑스포 개최는 물론 생명과학단지 조성, 6대 국책기관과 관련 지원·연구시설 유치를 이끌어냈다.
뿐만 아니라 KTX오송역, 바이오관련 업체 유치는 물론 지난 2007년 대선 이후 대통령 공약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 유치까지 나섰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오송첨복단지를 유치하게 됐고,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을 도출해냈다.
하지만 충북이 바이오메카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직적인 대응 능력과 각종 사업들을 집대성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 이후 첨복단지 유치, 오송역세권 개발,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 등을 담당한 부서가 각기 달랐다. 이들 현안들이 각 부서별로 제각각 추진되면서 정제되고 구체적인 플랜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에 대한 문제도 민선5기가 시작되면서 불거졌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 자체에 대한 실현 가능성과 효율성 문제가 대두된 것이다. 이시종 지사는 검증위원회를 통해 검증작업을 지시했지만, 사업 폐기보다는 보완적 차원의 성격이 강하다.
민선4기 동안 중점 추진된 사업이지만 오송바이오산업 육성에 있어 필연적으로 추진돼야할 사업들이라는 점에서 민선5기가 전임자의 흔적을 지워버리는 차원에서 폐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의 지속 추진에 따른 첨복단지 조성 사업 등과 연계한 밑그림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가 관건이다.
또,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 여부도 중요하다.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오송첨복단지를 중심으로 한 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 정책이다. 외자유치를 위해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필수적이다. 지정이 불발로 끝날 경우 외국병원, 교육시설 유치가 어려워진다. 결국 오송첨복단지내에 들어올 관련 시설에 대해서만 첨복단지 관련법에 의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 단지 외 지역의 외자유치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오송제2단지 조성과 역세권 개발 과제도 풀어야 한다. 오송단지 분양가가 타지역에 비해 낮았던 것은 조성 당시 땅값이 저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땅값이 높아져 분양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만큼 역세권 개발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세종시 수정안 폐기에 따른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재선정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세종시에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시설이 들어서게 되고 인접한 오송까지 거점지구화될 경우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었다. 하지만 상황이 바뀔 경우 그만큼 시너지효과를 누릴 수 없게 된다.
첨복단지 R&D분야에 필요한 중이온가속기 이외에 오창 방사광가속기 유치도 풀어야할 과제 중 하나다.
이밖에 오송생명과학단지 설립이 결정된 국립노화연구소 유치도 성서시켜야 한다. 현재까지 부산, 광주 등 일부 지자체에서 유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관련법이 국회에 계류중에 있어 국립노화연구소 유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뿐만 아니라 KTX오송역, 바이오관련 업체 유치는 물론 지난 2007년 대선 이후 대통령 공약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 유치까지 나섰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오송첨복단지를 유치하게 됐고,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을 도출해냈다.
하지만 충북이 바이오메카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조직적인 대응 능력과 각종 사업들을 집대성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 이후 첨복단지 유치, 오송역세권 개발,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 등을 담당한 부서가 각기 달랐다. 이들 현안들이 각 부서별로 제각각 추진되면서 정제되고 구체적인 플랜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 사업에 대한 문제도 민선5기가 시작되면서 불거졌다.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사업 자체에 대한 실현 가능성과 효율성 문제가 대두된 것이다. 이시종 지사는 검증위원회를 통해 검증작업을 지시했지만, 사업 폐기보다는 보완적 차원의 성격이 강하다.
민선4기 동안 중점 추진된 사업이지만 오송바이오산업 육성에 있어 필연적으로 추진돼야할 사업들이라는 점에서 민선5기가 전임자의 흔적을 지워버리는 차원에서 폐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송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의 지속 추진에 따른 첨복단지 조성 사업 등과 연계한 밑그림을 어떻게 그릴 것인가가 관건이다.
또,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 여부도 중요하다.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오송첨복단지를 중심으로 한 메디컬그린시티 조성사업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 정책이다. 외자유치를 위해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필수적이다. 지정이 불발로 끝날 경우 외국병원, 교육시설 유치가 어려워진다. 결국 오송첨복단지내에 들어올 관련 시설에 대해서만 첨복단지 관련법에 의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 단지 외 지역의 외자유치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오송제2단지 조성과 역세권 개발 과제도 풀어야 한다. 오송단지 분양가가 타지역에 비해 낮았던 것은 조성 당시 땅값이 저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은 땅값이 높아져 분양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만큼 역세권 개발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세종시 수정안 폐기에 따른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재선정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인 세종시에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 등 핵심시설이 들어서게 되고 인접한 오송까지 거점지구화될 경우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었다. 하지만 상황이 바뀔 경우 그만큼 시너지효과를 누릴 수 없게 된다.
첨복단지 R&D분야에 필요한 중이온가속기 이외에 오창 방사광가속기 유치도 풀어야할 과제 중 하나다.
이밖에 오송생명과학단지 설립이 결정된 국립노화연구소 유치도 성서시켜야 한다. 현재까지 부산, 광주 등 일부 지자체에서 유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관련법이 국회에 계류중에 있어 국립노화연구소 유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