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예산 일원에 조성되는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의 명칭이 ‘내포(內浦) 신도시’로 최종 확정됐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2일 도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충남도 지명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신도시 이름을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충남도는 그동안 ‘도청 이전 신도시’라는 명칭 만으로는 다양한 특징과 매력을 가진 신도시를 알리는데 한계가 있고, 지역 마케팅을 펼치는데도 제약이 크다는 판단아래 신도시 명칭을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도는 이를 위해 도내 각 시·군의 의견을 수렴하고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명칭공모 평가위원회, 충남도 지명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도청 신도시 명칭을 ‘내포 신도시’로 최종 결정하게 됐다.
충남도 지명위는 신도시 명칭으로 상정된 내포, 서해, 홍예 등 3개안을 놓고 심의를 벌여,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가 ‘내포문화권의 중심’이라는 역사적·지리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고, 황해권 시대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내포 신도시’로 최종 낙점했다.
이처럼 도청 이전 신도시의 명칭이 최종 결정됨에 따라 앞으로 용지분양, 기관·단체 및 기업 유치 등 모든 홍보자료에 ‘도청 이전 신도시’라는 명칭 대신 ‘내포 신도시’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대내외적인 인지도 향상은 물론, 각종 지역 마케팅 전략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희정 지사는 이날 “내포 신도시의 출발은 충남과 대한민국이 아시아와 전세계로 나아가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행정타운과 청사 공정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신도시 이전에 따른 국비확보문제와 관련 “도청이전은 국가의 광역행정망 단위가 변경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한 것”이라며 “다음달 중 경북도와 공동으로 중앙정부가 도청이전 사업 특별법에 따라 지원 확대할 수 있도록 국민여론을 환기하는 토론회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6월 16일 첫 삽을 뜬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는 오는 2020년말까지 홍성군 홍북면·예산군 삽교읍 일대 993만 8000㎡의 부지위에 인구 10만명(3만 8500가구) 규모로 조성 중이다.
신도시에는 충남도청 및 충남도의회를 비롯 충남지방경찰청, 충남도교육청 등 광역행정기관 단체 등 136개 기관단체가 이전을 추진 중이며, 이들 기관·단체는 오는 2012년 말까지 입주를 완료할 예정이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안희정 충남지사는 2일 도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충남도 지명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신도시 이름을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충남도는 그동안 ‘도청 이전 신도시’라는 명칭 만으로는 다양한 특징과 매력을 가진 신도시를 알리는데 한계가 있고, 지역 마케팅을 펼치는데도 제약이 크다는 판단아래 신도시 명칭을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도는 이를 위해 도내 각 시·군의 의견을 수렴하고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명칭공모 평가위원회, 충남도 지명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도청 신도시 명칭을 ‘내포 신도시’로 최종 결정하게 됐다.
충남도 지명위는 신도시 명칭으로 상정된 내포, 서해, 홍예 등 3개안을 놓고 심의를 벌여,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가 ‘내포문화권의 중심’이라는 역사적·지리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고, 황해권 시대를 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내포 신도시’로 최종 낙점했다.
이처럼 도청 이전 신도시의 명칭이 최종 결정됨에 따라 앞으로 용지분양, 기관·단체 및 기업 유치 등 모든 홍보자료에 ‘도청 이전 신도시’라는 명칭 대신 ‘내포 신도시’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대내외적인 인지도 향상은 물론, 각종 지역 마케팅 전략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희정 지사는 이날 “내포 신도시의 출발은 충남과 대한민국이 아시아와 전세계로 나아가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행정타운과 청사 공정을 차질없이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신도시 이전에 따른 국비확보문제와 관련 “도청이전은 국가의 광역행정망 단위가 변경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발생한 것”이라며 “다음달 중 경북도와 공동으로 중앙정부가 도청이전 사업 특별법에 따라 지원 확대할 수 있도록 국민여론을 환기하는 토론회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6월 16일 첫 삽을 뜬 충남도청 이전 신도시는 오는 2020년말까지 홍성군 홍북면·예산군 삽교읍 일대 993만 8000㎡의 부지위에 인구 10만명(3만 8500가구) 규모로 조성 중이다.
신도시에는 충남도청 및 충남도의회를 비롯 충남지방경찰청, 충남도교육청 등 광역행정기관 단체 등 136개 기관단체가 이전을 추진 중이며, 이들 기관·단체는 오는 2012년 말까지 입주를 완료할 예정이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