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연고지를 찾는 상무를 충북에 유치하는 방안이 충북도민축구단 창단의 현실적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충북도가 오는 2013년까지 도민프로축구단을 창단하겠다는 발표를 한 후 체육계를 비롯한 지역각계에서는 “프로스포츠의 불모지라는 불명예를 떨치기 위해서는 프로축구단 창단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도세가 약한 충북의 현실에서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는 프로축구단 창단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상충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충북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013년 도민축구단 창단을 목표로 청주, 충주, 제천 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축구 시설규정에 맞도록 개·보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도에서 구상중인 구단 운영 방법은 도민주 공모를 통해 구단을 창단한 후 일본 프로축구를 벤치마킹한 지역밀착식 마케팅을 통해 운영비를 조달하는 방법이다. 고세웅 충북도체육과장은 “민간이 주체가 돼 스스로의 힘으로 구단을 운영하는 K-리그 최초의 팀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고 과장은 이어 “창단된 팀이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130억 원 이상의 연간 운영비를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충북도의 구상은 이론상 도민프로축구단이 가야할 이상적인 지향점임은 분명하지만 충북의 현실상 실현 가능성에는 의문이 일고 있다. 특히 충북의 비교대상으로 자주 거론되는 강원도의 강원FC가 강원도민들의 열광적인 응원과 강원랜드라는 메인스폰서를 확보하고도 운영난에 시달리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런 가운데 올해 광주가 프로축구단을 창단할 경우 새로운 연고지를 찾아야 하는 상무를 유치하는 것이 충북의 현실상 가장 적합한 대안이라는 의견이 높다.
상무를 유치할 경우 자체프로축구단을 운영하는 것보다 운영비가 파격적으로 줄어든다. 국내프로축구단의 1년 운영비는 최저 약 80억 원 수준이다. 이에 비해 광주 상무는 선수들의 신분이 군인이기 때문에 사무국 운영, 전지훈련, 경기시 숙소 마련 등으로 연간 25억~30억 원 가량의 운영비가 소요된다.
일정 수준 이상의 선수확보도 중요한 요소다. 프로축구선수 중 병역면제혜택을 받지 못한 선수는 선발과정을 거쳐 상무에 입단한다. 비록 용병선수를 쓸 수는 없지만 낮은 운영비를 사용하는 팀보다는 양질의 선수로 팀을 꾸릴 수 있다. 월드컵에서 맹활약을 펼친 김정우도 상무에 소속됐고 2일 현재 리그 11위로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프로스포츠의 불모지인 충북에서 도민축구단 창단 이전에 프로구단 운영의 노하우를 익힐 수 있는 기회라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실제 광주 상무의 사무국은 시민축구단 창단이 확정된 후 창단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프로구단 운영 경험이 없는 충북의 입장에서는 상무 운영을 통해 구단경영, 마케팅, 홍보 등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프로축구연맹도 상무의 충북 이전에 긍정적이다. 프로축구연맹 관계자는 “충북에서 상무를 유치하는 것은 차후 연고구단 창단을 앞두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라며 “운동장 보수도 당장 경기에 지장이 없다면 향후 보완을 전제로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실제 프로축구연맹은 지난달 충북도를 방문해 이 같은 의사를 전달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공청회 등을 통해 도민구단 창단 및 타팀 유치 등의 장단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볼 것”이라고 답했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충북도가 오는 2013년까지 도민프로축구단을 창단하겠다는 발표를 한 후 체육계를 비롯한 지역각계에서는 “프로스포츠의 불모지라는 불명예를 떨치기 위해서는 프로축구단 창단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도세가 약한 충북의 현실에서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는 프로축구단 창단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상충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충북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013년 도민축구단 창단을 목표로 청주, 충주, 제천 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축구 시설규정에 맞도록 개·보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도에서 구상중인 구단 운영 방법은 도민주 공모를 통해 구단을 창단한 후 일본 프로축구를 벤치마킹한 지역밀착식 마케팅을 통해 운영비를 조달하는 방법이다. 고세웅 충북도체육과장은 “민간이 주체가 돼 스스로의 힘으로 구단을 운영하는 K-리그 최초의 팀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고 과장은 이어 “창단된 팀이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130억 원 이상의 연간 운영비를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충북도의 구상은 이론상 도민프로축구단이 가야할 이상적인 지향점임은 분명하지만 충북의 현실상 실현 가능성에는 의문이 일고 있다. 특히 충북의 비교대상으로 자주 거론되는 강원도의 강원FC가 강원도민들의 열광적인 응원과 강원랜드라는 메인스폰서를 확보하고도 운영난에 시달리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런 가운데 올해 광주가 프로축구단을 창단할 경우 새로운 연고지를 찾아야 하는 상무를 유치하는 것이 충북의 현실상 가장 적합한 대안이라는 의견이 높다.
상무를 유치할 경우 자체프로축구단을 운영하는 것보다 운영비가 파격적으로 줄어든다. 국내프로축구단의 1년 운영비는 최저 약 80억 원 수준이다. 이에 비해 광주 상무는 선수들의 신분이 군인이기 때문에 사무국 운영, 전지훈련, 경기시 숙소 마련 등으로 연간 25억~30억 원 가량의 운영비가 소요된다.
일정 수준 이상의 선수확보도 중요한 요소다. 프로축구선수 중 병역면제혜택을 받지 못한 선수는 선발과정을 거쳐 상무에 입단한다. 비록 용병선수를 쓸 수는 없지만 낮은 운영비를 사용하는 팀보다는 양질의 선수로 팀을 꾸릴 수 있다. 월드컵에서 맹활약을 펼친 김정우도 상무에 소속됐고 2일 현재 리그 11위로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프로스포츠의 불모지인 충북에서 도민축구단 창단 이전에 프로구단 운영의 노하우를 익힐 수 있는 기회라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실제 광주 상무의 사무국은 시민축구단 창단이 확정된 후 창단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프로구단 운영 경험이 없는 충북의 입장에서는 상무 운영을 통해 구단경영, 마케팅, 홍보 등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프로축구연맹도 상무의 충북 이전에 긍정적이다. 프로축구연맹 관계자는 “충북에서 상무를 유치하는 것은 차후 연고구단 창단을 앞두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라며 “운동장 보수도 당장 경기에 지장이 없다면 향후 보완을 전제로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실제 프로축구연맹은 지난달 충북도를 방문해 이 같은 의사를 전달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공청회 등을 통해 도민구단 창단 및 타팀 유치 등의 장단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볼 것”이라고 답했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