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에서 발생한 교원들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오답 지적 사건은 전국 최고의 실력을 과시하던 충북교육계를 혼란에 빠뜨렸음은 물론 학생들에게 존경받아야할 교사들의 도덕성이 끝없이 추락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전교조 충북지부가 지난달 15일 밝힌 국가수준학업성취도 시험 부정행위는 제천 모 초교에서 교감이 시험을 치르던 학생들에게 3문제의 정답을 알려줬으며 체육교사가 일부 시험의 공식을 알려줬다는 것이다.
전교조는 또한 이외에도 30여 건의 제보가 접수됐으며 이중 10여 건은 신빙성이 있어 자체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지난달 21일 도교육청 브리핑 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도 10여 건의 시험부정 사례를 추가로 발표했다. 그러나 전교조는 당초 약속과는 달리 구체적인 학교명이나 감독교사의 이름 등을 밝히지 않아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
전교조의 이같은 발표에 대해 당황한 도교육청은 자체 조사와 감사를 벌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치르면서 직접 정답을 가르쳐주거나 체육교사가 공식을 가르쳐준바는 없다"며 일부 학생들의 오답을 지적한 부분은 인정했다.
반면 이수철 도교육청 교육국장은 전교조의 발표내용에 의문을 제기하고 "6하 원칙에 의거한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법적대응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강경대응으로 급선회했다.
대한민국교원조합 충북지부(이하 충북교조)도 성명서에서 "일부 초교 시험감독 중 부적절한 사례를 들춰내 부정의혹제기를 언론에 폭로하는 것이 참교육적 문제해결방법인가"라며 "전교조 충북지부는 추가 부정사례 의혹제기 폭로와 관련해 의혹만 제기하지 말고 해당학교와 부정사례를 밝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교육단체와 기관 등이 시험부정의혹을 놓고 공방을 벌이면서 학생들의 실력향상에 매진해온 일선 교사들은 교육의 목표와 정체성을 놓고 혼란에 빠졌으며 향후 일어날 비난에 대한 우려도 보이고 있다.
청주 모 초교 A 교사는 "학생들에게 오답을 지적한 것을 부정행위가 아니라고 볼 수는 없다"며 "지방자치를 ‘지방자취’라고 쓴 학생에게 이를 고치도록 한 것은 교사로서 바람직한 행동은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다른 교사 B 씨도 "시험감독으로부터 오답을 지적받은 학생은 그 교사에게 처음에는 고마워했겠지만 문제가 불거진 뒤에도 과연 그 교사에게 고마운 마음을 가질 수 있었는지는 의문"이라며 "오히려 학교나 교사의 입지를 위해 오답을 지적했다고 생각하면 이 학생은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사라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전교조 충북지부가 지난달 15일 밝힌 국가수준학업성취도 시험 부정행위는 제천 모 초교에서 교감이 시험을 치르던 학생들에게 3문제의 정답을 알려줬으며 체육교사가 일부 시험의 공식을 알려줬다는 것이다.
전교조는 또한 이외에도 30여 건의 제보가 접수됐으며 이중 10여 건은 신빙성이 있어 자체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지난달 21일 도교육청 브리핑 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도 10여 건의 시험부정 사례를 추가로 발표했다. 그러나 전교조는 당초 약속과는 달리 구체적인 학교명이나 감독교사의 이름 등을 밝히지 않아 의혹을 불러 일으켰다.
전교조의 이같은 발표에 대해 당황한 도교육청은 자체 조사와 감사를 벌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치르면서 직접 정답을 가르쳐주거나 체육교사가 공식을 가르쳐준바는 없다"며 일부 학생들의 오답을 지적한 부분은 인정했다.
반면 이수철 도교육청 교육국장은 전교조의 발표내용에 의문을 제기하고 "6하 원칙에 의거한 구체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면 법적대응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강경대응으로 급선회했다.
대한민국교원조합 충북지부(이하 충북교조)도 성명서에서 "일부 초교 시험감독 중 부적절한 사례를 들춰내 부정의혹제기를 언론에 폭로하는 것이 참교육적 문제해결방법인가"라며 "전교조 충북지부는 추가 부정사례 의혹제기 폭로와 관련해 의혹만 제기하지 말고 해당학교와 부정사례를 밝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교육단체와 기관 등이 시험부정의혹을 놓고 공방을 벌이면서 학생들의 실력향상에 매진해온 일선 교사들은 교육의 목표와 정체성을 놓고 혼란에 빠졌으며 향후 일어날 비난에 대한 우려도 보이고 있다.
청주 모 초교 A 교사는 "학생들에게 오답을 지적한 것을 부정행위가 아니라고 볼 수는 없다"며 "지방자치를 ‘지방자취’라고 쓴 학생에게 이를 고치도록 한 것은 교사로서 바람직한 행동은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다른 교사 B 씨도 "시험감독으로부터 오답을 지적받은 학생은 그 교사에게 처음에는 고마워했겠지만 문제가 불거진 뒤에도 과연 그 교사에게 고마운 마음을 가질 수 있었는지는 의문"이라며 "오히려 학교나 교사의 입지를 위해 오답을 지적했다고 생각하면 이 학생은 교사에 대한 존경심이 사라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