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시 가경동 풍년골 공원에 설치된 운동기구의 모습.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지방의원 또는 일선 동장들의 선심성 요구에 의해 마구잡이식으로 설치되는 야외생활체육시설이 혈세낭비의 전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29일 청주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내 공원 또는 산책로, 도로변 녹지 등에 설치된 야외생활체육시설은 모두 37곳 382개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시설의 설치비가 개당 250만~300만 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10억 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된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 시설의 상당수가 필요성 보다는 지역구 시의원 또는 동장들의 선심성 요구에 의해 설치된 후 실제 사용이 되지 않아 도심속 흉물로 전락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야외생활체육시설이 설치되는 유형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우선 공원 또는 녹지 조성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에서 필요에 의해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녹지공간과의 비율, 실제 이용도 등을 감안해 설치 여부가 결정되고 향후 관리 또한 해당 부서가 담당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지역구 시의원의 요구 또는 동장들의 재량 사업비에 의해 담당부서와의 협의 없이 설치되거나 필요이상 설치되는 경우가 전체의 절반 가까이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공무원들에 따르면 선거를 앞두고 지역구 관리를 위해 일부 시의원들이 지역민들의 단편적 요구에 따라 담당부서 또는 동장 등에 야외생활체육시설 설치를 강요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한 것. 실제 이들 야외생활체육시설 중 상당수가 지난 6·2지방선거를 1년여 앞둔 시점에 집중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나마 담당부서를 통해 설치된 시설은 향후 관리에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일선 동장들에 의해 설치된 시설(전체시설중 20~30% 정도로 예상)의 경우 담당부서에서 설치여부를 알지 못해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담당부서에서는 최근 일선 동에 야외생활체육시설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협의를 통해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는 협조공문까지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공원내 운동시설을 이용하면서 기다리기가 싫다는 이유로 시설 수를 늘려달라는 한 두명의 민원에도 일부 시의원이 무리하게 요구하거나 일선 동장들이 임의로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가 최근 부쩍 늘었다"며 "심지어 일부 산책로는 수천만 원을 들여 시설을 설치했는데 이용객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곳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같은 선심성 행정 때문에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되고, 실제로 있어야할 녹지공간은 줄어들고, 시설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