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하수처리장을 비롯해 지역 내 통합하수처리시설이 대덕R&D특구 대동지구 개발사업에 포함, 이전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29일 시청에서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갖고, 하수처리시설의 이전 및 지하 시설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번 용역을 수행한 대전발전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지역 발생하수의 95.3%를 처리하는 원촌동 하수처리장은 시설 노후화로 다수의 균열이 발생했고, 소음 및 악취발생에 따른 개선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단계별 설치로 설비산재 및 다기종 설치 등의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고, 개방형 구조로 악취발생시설 노출 및 악취확산에 따른 민원발생이 큰 문제점으로 지목됐다.
특히 대덕R&D특구 내 대규모 산업단지가 추가 조성되면서 향후 수요 증가에 따른 처리시설 확충이 시급하며, 하류 지점이 아닌 상류에 있는 현 처리시설의 지리적 문제로 일 8만 2000㎥의 하수를 강제 이송 처리해야 하는 등 시 장기발전계획과의 효율적인 연계방안이 필요하다고 대발연은 제언했다.
대발연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처리시설의 이전 및 지하 시설화 등을 해결 방안으로 도출시켰다.
이전대상지로는 대덕R&D특구 내 대동지구 개발 사업에 포함시키는 안과 별도의 도시계획시설 사업으로 조성한다는 안 등 2가지다.
그러나 별도의 도시계획시설 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특구 특별법 취지에 부합되지 않아 승인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이전으로 정책결정이 이뤄지면 대동지구 개발 사업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하수처리시설의 부지 활용방안, 즉 현 시설의 지하화는 갑천변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활용한 친환경 주거단지로 조성할 수 있고, 지구 내·외 거주민, 상근 인구 등을 위한 질 높은 공공시설로 계획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했다.
다만 원촌동과 전민동 등 대전하수처리장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염홍철 대전시장도 지난 지방선거 당시 현 하수처리장의 이전을 공약으로 내건 만큼 이전에 더 큰 무게가 실리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대전시는 29일 시청에서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갖고, 하수처리시설의 이전 및 지하 시설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번 용역을 수행한 대전발전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지역 발생하수의 95.3%를 처리하는 원촌동 하수처리장은 시설 노후화로 다수의 균열이 발생했고, 소음 및 악취발생에 따른 개선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단계별 설치로 설비산재 및 다기종 설치 등의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고, 개방형 구조로 악취발생시설 노출 및 악취확산에 따른 민원발생이 큰 문제점으로 지목됐다.
특히 대덕R&D특구 내 대규모 산업단지가 추가 조성되면서 향후 수요 증가에 따른 처리시설 확충이 시급하며, 하류 지점이 아닌 상류에 있는 현 처리시설의 지리적 문제로 일 8만 2000㎥의 하수를 강제 이송 처리해야 하는 등 시 장기발전계획과의 효율적인 연계방안이 필요하다고 대발연은 제언했다.
대발연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처리시설의 이전 및 지하 시설화 등을 해결 방안으로 도출시켰다.
이전대상지로는 대덕R&D특구 내 대동지구 개발 사업에 포함시키는 안과 별도의 도시계획시설 사업으로 조성한다는 안 등 2가지다.
그러나 별도의 도시계획시설 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특구 특별법 취지에 부합되지 않아 승인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이전으로 정책결정이 이뤄지면 대동지구 개발 사업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하수처리시설의 부지 활용방안, 즉 현 시설의 지하화는 갑천변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활용한 친환경 주거단지로 조성할 수 있고, 지구 내·외 거주민, 상근 인구 등을 위한 질 높은 공공시설로 계획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했다.
다만 원촌동과 전민동 등 대전하수처리장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염홍철 대전시장도 지난 지방선거 당시 현 하수처리장의 이전을 공약으로 내건 만큼 이전에 더 큰 무게가 실리고 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