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장 등 학교시설 개방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최근 학교에서 외부인에 의한 도난과 성추행 등 사건·사고가 급증하면서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안전망 확보 차원에서 학교시설 개방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공공 체육시설인 학교 운동장 등은 주민복지와 생활체육 장소로서 활용도가 높은 만큼 섣부르게 폐쇄하기보다는 예산과 인력지원 등을 강화해 학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9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대전지역 138개 초등학교 중 3개 학교를 제외하고 135개가 학교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충남지역은 초등학교 430개, 중학교 192개, 고교 117개가 지역주민에게 개방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초중고교의 95.7%가 운동장 등 학교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초·중등 교육법에 따라 '학교 교육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주민이 학교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야 한다'는 법적 의무와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개방을 유도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초등학교에서 성폭행이 발생하는 등 교내로 들어온 외부인으로 인한 사건·사고가 급증하면서 학부모들 사이에 학교 문을 다시 걸어 잠그는 등의 보안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본이 지난 2001년 초등학교에 괴한이 난입해 초등학생 8명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고 이후 교문 통제 정책을 시행한 것처럼 국내에서도 학교 시설 개방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부모 이 모(여·46)씨는 "부모입장에서 학교에서 연이어 흉흉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불안하기 그지없다"며 "더 큰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기 전에 학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교육계에서는 그동안 생활권 주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체육시설인 운동장 등에 대해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추진해 온 만큼 학교 문을 다시 통제하기보다는 철저한 안전대책을 마련, 보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인 운동장 등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주민들의 건강과 복지차원에서 큰 낭비라는 것이다.
충남도교육청 관계자는 "운동장과 강당 등 학교시설에 대해 100% 개방을 목표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최근 발생한 일련의 사건사고로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역민과 학교 간의 소통과 문화체육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만큼 CCTV 확충과 안전요원 배치 등 안전 및 돌봄 시스템 보완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최근 학교에서 외부인에 의한 도난과 성추행 등 사건·사고가 급증하면서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안전망 확보 차원에서 학교시설 개방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공공 체육시설인 학교 운동장 등은 주민복지와 생활체육 장소로서 활용도가 높은 만큼 섣부르게 폐쇄하기보다는 예산과 인력지원 등을 강화해 학생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29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대전지역 138개 초등학교 중 3개 학교를 제외하고 135개가 학교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충남지역은 초등학교 430개, 중학교 192개, 고교 117개가 지역주민에게 개방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초중고교의 95.7%가 운동장 등 학교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초·중등 교육법에 따라 '학교 교육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주민이 학교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야 한다'는 법적 의무와 정부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개방을 유도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초등학교에서 성폭행이 발생하는 등 교내로 들어온 외부인으로 인한 사건·사고가 급증하면서 학부모들 사이에 학교 문을 다시 걸어 잠그는 등의 보안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본이 지난 2001년 초등학교에 괴한이 난입해 초등학생 8명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고 이후 교문 통제 정책을 시행한 것처럼 국내에서도 학교 시설 개방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부모 이 모(여·46)씨는 "부모입장에서 학교에서 연이어 흉흉한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불안하기 그지없다"며 "더 큰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기 전에 학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해 교육계에서는 그동안 생활권 주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체육시설인 운동장 등에 대해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추진해 온 만큼 학교 문을 다시 통제하기보다는 철저한 안전대책을 마련, 보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인 운동장 등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주민들의 건강과 복지차원에서 큰 낭비라는 것이다.
충남도교육청 관계자는 "운동장과 강당 등 학교시설에 대해 100% 개방을 목표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최근 발생한 일련의 사건사고로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역민과 학교 간의 소통과 문화체육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만큼 CCTV 확충과 안전요원 배치 등 안전 및 돌봄 시스템 보완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