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회가 월권 논란에도 불구 사무처기구 개편 강행 의지를 보이고 있어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도의회 등에 따르면 일부 의원들은 지난 23일 열린 운영위원회 간담회에서 충북도의회 사무처의 진단과 개편을 담당할 조직 진단팀을 구성키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의회 운영위원회는 당초 1개월 가량 한시적으로 운영될 가칭 '의회 사무기구 개편에 대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했었다.
따라서 운영위는 자체적으로 의회 사무처에 대한 직무진단을 실시한 뒤 개선방안을 특위에 보고하는 구체적인 실천방안까지 마련해 본회의에 정식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운영위는 특위 대신 조직 진단팀을 구성키로 당초 계획을 변경했다.
조직 진단팀은 5명 안팎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이며, 도의장과 2명의 부의장, 운영위원장, 도의원 등이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진단팀은 조속한 시일 내에 조직개편, 전문위원 개방형 직위 전환 등에 대해 검토한 뒤 개편안을 집행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같이 월권 논란 등 일부의 부정적 시각에도 불구 의회사무처 개편을 위한 방향선회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향선회 배경에 대해 일정이 촉박해 특위 구성에 어려움이 있었고, 도의원 절반이상이 참여하는 특위활동에 대한 부담과 도청 안팎의 부정적 여론 때문이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조직 진단·개편 또는 인사가 수반돼야 할 사안으로 이는 집행부의 고유영역인 인사·조직 권한을 침해할 소지가 많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의원 보좌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 사무처는 집행부 소속으로 의원들이 집행부 소속기관에 대해 직무진단·개편을 직접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도의회 안팎에서는 이처럼 법적 근거도 없는데다 인사권 침해 논란까지 야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일을 처리하려면 외부 노출을 최대한 줄여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특위활동보다는 이목이 덜 집중되는 조직진단팀 구성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또 도의회 내부에서 의장단에 대한 불만이 감지되는 것도 한 요인으로 풀이된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의회사무처 개편 문제는 인사권 자체가 도지사에게 있는 만큼 잘못 접근하면 의회와 집행부간 불편한 관계만 만들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엄경철 기자
도의회 등에 따르면 일부 의원들은 지난 23일 열린 운영위원회 간담회에서 충북도의회 사무처의 진단과 개편을 담당할 조직 진단팀을 구성키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의회 운영위원회는 당초 1개월 가량 한시적으로 운영될 가칭 '의회 사무기구 개편에 대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키로 했었다.
따라서 운영위는 자체적으로 의회 사무처에 대한 직무진단을 실시한 뒤 개선방안을 특위에 보고하는 구체적인 실천방안까지 마련해 본회의에 정식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운영위는 특위 대신 조직 진단팀을 구성키로 당초 계획을 변경했다.
조직 진단팀은 5명 안팎으로 구성될 것으로 보이며, 도의장과 2명의 부의장, 운영위원장, 도의원 등이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진단팀은 조속한 시일 내에 조직개편, 전문위원 개방형 직위 전환 등에 대해 검토한 뒤 개편안을 집행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같이 월권 논란 등 일부의 부정적 시각에도 불구 의회사무처 개편을 위한 방향선회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향선회 배경에 대해 일정이 촉박해 특위 구성에 어려움이 있었고, 도의원 절반이상이 참여하는 특위활동에 대한 부담과 도청 안팎의 부정적 여론 때문이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조직 진단·개편 또는 인사가 수반돼야 할 사안으로 이는 집행부의 고유영역인 인사·조직 권한을 침해할 소지가 많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의원 보좌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 사무처는 집행부 소속으로 의원들이 집행부 소속기관에 대해 직무진단·개편을 직접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도의회 안팎에서는 이처럼 법적 근거도 없는데다 인사권 침해 논란까지 야기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일을 처리하려면 외부 노출을 최대한 줄여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특위활동보다는 이목이 덜 집중되는 조직진단팀 구성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또 도의회 내부에서 의장단에 대한 불만이 감지되는 것도 한 요인으로 풀이된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의회사무처 개편 문제는 인사권 자체가 도지사에게 있는 만큼 잘못 접근하면 의회와 집행부간 불편한 관계만 만들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엄경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