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시·도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세종시 유치를 위한 합의문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의 ‘세종시 수정안 ’ 부결이 이후 ‘과학벨트의 세종시 내 건설’이라는 정부의 당초 계획이 흔들리면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유치경쟁에 뛰어들고 있는데 다, 7·28 재보궐 선거에서 과학벨트 유치가 핵심 공약에 포함되는 등 논란이 예고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충청권 3개 시·도의 합의문 마련에 나선 것은 ‘과학벨트 건설이 정치적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겠다’는 충청권 지자체들의 초당적인 공조 체제가 가동된 것으로 풀이된다.
충남도는 지난 16일 대전·충남·충북 간 실무자 회의를 갖고 과학벨트를 세종시에 유치하기 위한 노력으로 ‘과학벨트 세종시 유치 합의문’에 대해 실무자 간 의견조율이 있었다고 22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합의내용에는 △‘행정도시 원안 추진과 관련해 과학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과 정운찬 총리의 세종시 발전방안 발표 내용 그대로 행정도시 자족기능 보강을 위해 행정도시 설치를 공동노력한다’ △‘세종시 특별법에 과학벨트의 위치를 행정도시로 명기하도록 공동노력 한다’ 등이며, 합의문에 대해 시·도 간의 이견이 없는 것으로 전했다.
도 관계자는 “3개 시·도 간 합의문을 마련한 배경은 과학벨트 특별법에 과학벨트 위치를 행정도시라고 명시하기 위한 명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내주 경 시·도지사의 결제를 얻어 최종 의견을 모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합의 문구를 통해 충청권이 힘을 합쳐 과학벨트를 사수하겠다는 의지를 정부에 확실히 보여줌과 동시에 과학벨트 유치를 호시탐탐 노리는 각 지자체의 속내를 견제한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합의 문구가 중요한 이유는 국회에서 계류 중인 과학벨트 특별법이 의결사안으로 통과될 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에 있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위치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3개 시·도 간 합의문은 8월 중 순 경 3개 시·도지사 공동발표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국회의 ‘세종시 수정안 ’ 부결이 이후 ‘과학벨트의 세종시 내 건설’이라는 정부의 당초 계획이 흔들리면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유치경쟁에 뛰어들고 있는데 다, 7·28 재보궐 선거에서 과학벨트 유치가 핵심 공약에 포함되는 등 논란이 예고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충청권 3개 시·도의 합의문 마련에 나선 것은 ‘과학벨트 건설이 정치적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겠다’는 충청권 지자체들의 초당적인 공조 체제가 가동된 것으로 풀이된다.
충남도는 지난 16일 대전·충남·충북 간 실무자 회의를 갖고 과학벨트를 세종시에 유치하기 위한 노력으로 ‘과학벨트 세종시 유치 합의문’에 대해 실무자 간 의견조율이 있었다고 22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합의내용에는 △‘행정도시 원안 추진과 관련해 과학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과 정운찬 총리의 세종시 발전방안 발표 내용 그대로 행정도시 자족기능 보강을 위해 행정도시 설치를 공동노력한다’ △‘세종시 특별법에 과학벨트의 위치를 행정도시로 명기하도록 공동노력 한다’ 등이며, 합의문에 대해 시·도 간의 이견이 없는 것으로 전했다.
도 관계자는 “3개 시·도 간 합의문을 마련한 배경은 과학벨트 특별법에 과학벨트 위치를 행정도시라고 명시하기 위한 명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내주 경 시·도지사의 결제를 얻어 최종 의견을 모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합의 문구를 통해 충청권이 힘을 합쳐 과학벨트를 사수하겠다는 의지를 정부에 확실히 보여줌과 동시에 과학벨트 유치를 호시탐탐 노리는 각 지자체의 속내를 견제한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합의 문구가 중요한 이유는 국회에서 계류 중인 과학벨트 특별법이 의결사안으로 통과될 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에 있어 거점지구와 기능지구 위치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3개 시·도 간 합의문은 8월 중 순 경 3개 시·도지사 공동발표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