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적인 조직축소 개편으로 승진축소 등에 따른 공직사회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민선5기 충북도 조직개편 규모가 어느 선에서 결정될 지 주목된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민선5기 조직개편안이 1국 7과 14팀 77명 감축안이 검토돼 공무원 노조의 의견수렴을 마쳤다.
균형발전국과 건설방재국 통합으로 1국이 폐지되는 등 대대적인 조직개편에 따라 도가 검토한 개편안대로 강행될 경우 하반기부터 승진인사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이같이 대대적인 조직개편안에 대해 충북도공무원노조측은 감축인원 축소 등 조직개편 규모 축소를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무원노조측의 한 관계자는 “조직개편에 따른 감축인원을 49명으로 줄이는 방안에 대해 집행부와 협의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냈다”며 “인원감축 규모 이외 조직개편에 대한 구체적인 안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도가 공무원노조측의 입장을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 감축인원을 다소 줄이는 선에서 협의가 이뤄지기는 했지만, 기구축소 규모는 기존 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수도 있어 승진축소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당초 도가 마련한 개편안대로 시행될 경우 국장급, 서기관급, 사무관급 자리가 크게 줄어들면서 보직을 받지 못하는 사무관급 이상 공무원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공무원노조측과 협의과정에서 감축인원 규모가 다소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감은 어느 정도 충족된 것으로 보이나 조직축소에 따른 승진축소는 물론 직급에 맞는 보직을 받지 못하는 공무원이 나올 수도 있다. 또 신규채育� 크게 위축되고, 기초단체 등에서의 전입도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청의 한 공무원은 “조직개편의 필요성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제기된바 있어 일정 부분의 개편은 불가피하다는데에는 이의가 없다”며 “하지만, 단체장이 바뀐 시점에서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이뤄질 경우 부작용이 클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대대적인 조직개편에 따른 승진인사 축소 등에 대한 공직사회의 불만에도 불구 도가 기존에 검토했던 개편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규모의 조직개편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취임이후 조직의 슬림화와 유사·중복업무 부서 통폐합 원칙을 지속적으로 언급한 만큼 조직내부의 불만이 다소 생기더라도 당초대로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도가 검토한 조직개편안은 조직의 슬림화와 유사·중복업무 부서 통폐합을 원칙으로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감축인원은 퇴직 등 자연감소 인원을 충원하기 위한 신규 채용을 억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도는 조직개편안을 조만간 확정하고 충북도의회에 '충북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와 '충북도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등의 개정안을 상정, 도의회 의결을 거친 뒤 인사를 단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충북도의회는 충북도의 요청에 의해 조직개편안을 다루기 위해 당초 23일 폐회를 26일로 연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충북도 등에 따르면 민선5기 조직개편안이 1국 7과 14팀 77명 감축안이 검토돼 공무원 노조의 의견수렴을 마쳤다.
균형발전국과 건설방재국 통합으로 1국이 폐지되는 등 대대적인 조직개편에 따라 도가 검토한 개편안대로 강행될 경우 하반기부터 승진인사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이같이 대대적인 조직개편안에 대해 충북도공무원노조측은 감축인원 축소 등 조직개편 규모 축소를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무원노조측의 한 관계자는 “조직개편에 따른 감축인원을 49명으로 줄이는 방안에 대해 집행부와 협의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냈다”며 “인원감축 규모 이외 조직개편에 대한 구체적인 안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고 밝혔다.
도가 공무원노조측의 입장을 어느 정도 수용하면서 감축인원을 다소 줄이는 선에서 협의가 이뤄지기는 했지만, 기구축소 규모는 기존 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수도 있어 승진축소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당초 도가 마련한 개편안대로 시행될 경우 국장급, 서기관급, 사무관급 자리가 크게 줄어들면서 보직을 받지 못하는 사무관급 이상 공무원들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공무원노조측과 협의과정에서 감축인원 규모가 다소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감은 어느 정도 충족된 것으로 보이나 조직축소에 따른 승진축소는 물론 직급에 맞는 보직을 받지 못하는 공무원이 나올 수도 있다. 또 신규채育� 크게 위축되고, 기초단체 등에서의 전입도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충북도청의 한 공무원은 “조직개편의 필요성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제기된바 있어 일정 부분의 개편은 불가피하다는데에는 이의가 없다”며 “하지만, 단체장이 바뀐 시점에서 대대적인 조직개편이 이뤄질 경우 부작용이 클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대대적인 조직개편에 따른 승진인사 축소 등에 대한 공직사회의 불만에도 불구 도가 기존에 검토했던 개편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규모의 조직개편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다.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취임이후 조직의 슬림화와 유사·중복업무 부서 통폐합 원칙을 지속적으로 언급한 만큼 조직내부의 불만이 다소 생기더라도 당초대로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도가 검토한 조직개편안은 조직의 슬림화와 유사·중복업무 부서 통폐합을 원칙으로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감축인원은 퇴직 등 자연감소 인원을 충원하기 위한 신규 채용을 억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도는 조직개편안을 조만간 확정하고 충북도의회에 '충북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와 '충북도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등의 개정안을 상정, 도의회 의결을 거친 뒤 인사를 단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충북도의회는 충북도의 요청에 의해 조직개편안을 다루기 위해 당초 23일 폐회를 26일로 연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