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충북도의 기구통·폐합 등 조직개편이 마무리단계로 접어들면서 개편규모를 놓고 공직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직개편에 따라 서기관급 정기인사의 승진 및 보직교체 규모 등 인사구도가 그려지다보니 관련공무원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충북도는 지난 9일 조직과 인사업무 담당부서장을 교체한 이후 조직개편을 추진 중이다.
조직개편의 큰 틀은 ‘조직슬림화’와 유사·중복업무 부서 통폐합이다.
도는 현재 민선4기 조직 중 비효율적인 부분에 대한 감축과 통폐합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이 지사가 공약한 조직 신설 등의 방향으로 조직개편안을 마련 중이다.
도는 조직개편안이 마련되면 충북도의회에 '충북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와 '충북도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등의 개정안을 상정, 도의회 의결을 거친 뒤 인사를 단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현재 회기 중인 충북도의회 임시회가 오는 23일 끝나는 것을 감안할 때 도가 마련한 조직개편안은 빨라야 8월에나 도의회에 상정할 수 있어 인사도 그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이 지사 공약 추진에 따른 필요부서에 한해서만 우선적으로 개편하고 연말에 대대적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한 공무원은 “우선 공약추진에 따른 과·계 등 필요부서에 한해서만 개편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의회 의결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인사도 곧바로 단행할 수 있다”며 “국 단위 통폐합은 연말에 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개편이 대폭이냐 소폭이냐’에 따라 서기관급 승진인사의 규모가 다소 차이는 날수 있지만 승진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뒤숭숭한 분위기다.
도 관계자는 “대대적 개편은 성급한 예측이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면서 “어찌됐든 예년에 비해 승진규모는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부 충북도의원들이 제9대 의회 개원과 함께 사무처 부서 통폐합, 전문위원 개방 등의 기구개편 문제를 거론하고 나선 점도 변수다.
집행부 쪽에서 성급한 문제제기라며 반발 기류를 형성하고 있지만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 없다보니 관련 공무원들 입장에선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이 지사의 인사스타일도 안갯속이다.
이 지사는 취임 초 정무부지사 인선을 놓고 장고를 거듭하면서 관련 공무원들의 애를 태웠다.
인선 과정에서도 통상적인 보직서열을 벗어나 김종록 도의회 사무처장을 승진·임명해 뒷말을 낳기도 했다.
김 정무부지사를 임명하면서 4년 남은 그의 '정년 단축' 효과를 노리고, 해군사관학교 출신 후배에 밀린 우병수 정책관리실장이 스스로 퇴진을 하게끔 유도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사실이라면 오판이 된 셈이다. 검사나 판사의 직급과 달리 행정부처나 자치단체의 경우엔 그런 사례가 없다.
정년이 1년 남짓 정도밖에 안 남은 시점에서 특별한 자리를 보장받지 않을 경우 굳이 스스로 물러날 이유가 있겠냐는 것이다.
게다가 전임 지사의 우호세력으로 분류되는 인사들을 퇴출시킨다는 ‘살생부’설까지 돌면서 승진 및 교류대상자들은 그야말로 좌불안석이다.
한 공무원은 “조직개편, 인사규모, 지사의 인사스타일 등 변수가 많다보니 예측이 어렵다”면서 “어찌됐든 승진폭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보니 숨 죽이고 지켜보고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
조직개편에 따라 서기관급 정기인사의 승진 및 보직교체 규모 등 인사구도가 그려지다보니 관련공무원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충북도는 지난 9일 조직과 인사업무 담당부서장을 교체한 이후 조직개편을 추진 중이다.
조직개편의 큰 틀은 ‘조직슬림화’와 유사·중복업무 부서 통폐합이다.
도는 현재 민선4기 조직 중 비효율적인 부분에 대한 감축과 통폐합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이 지사가 공약한 조직 신설 등의 방향으로 조직개편안을 마련 중이다.
도는 조직개편안이 마련되면 충북도의회에 '충북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와 '충북도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등의 개정안을 상정, 도의회 의결을 거친 뒤 인사를 단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현재 회기 중인 충북도의회 임시회가 오는 23일 끝나는 것을 감안할 때 도가 마련한 조직개편안은 빨라야 8월에나 도의회에 상정할 수 있어 인사도 그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초 예상과 달리 이 지사 공약 추진에 따른 필요부서에 한해서만 우선적으로 개편하고 연말에 대대적 변화가 이뤄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한 공무원은 “우선 공약추진에 따른 과·계 등 필요부서에 한해서만 개편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의회 의결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인사도 곧바로 단행할 수 있다”며 “국 단위 통폐합은 연말에 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개편이 대폭이냐 소폭이냐’에 따라 서기관급 승진인사의 규모가 다소 차이는 날수 있지만 승진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뒤숭숭한 분위기다.
도 관계자는 “대대적 개편은 성급한 예측이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면서 “어찌됐든 예년에 비해 승진규모는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일부 충북도의원들이 제9대 의회 개원과 함께 사무처 부서 통폐합, 전문위원 개방 등의 기구개편 문제를 거론하고 나선 점도 변수다.
집행부 쪽에서 성급한 문제제기라며 반발 기류를 형성하고 있지만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 없다보니 관련 공무원들 입장에선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이 지사의 인사스타일도 안갯속이다.
이 지사는 취임 초 정무부지사 인선을 놓고 장고를 거듭하면서 관련 공무원들의 애를 태웠다.
인선 과정에서도 통상적인 보직서열을 벗어나 김종록 도의회 사무처장을 승진·임명해 뒷말을 낳기도 했다.
김 정무부지사를 임명하면서 4년 남은 그의 '정년 단축' 효과를 노리고, 해군사관학교 출신 후배에 밀린 우병수 정책관리실장이 스스로 퇴진을 하게끔 유도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사실이라면 오판이 된 셈이다. 검사나 판사의 직급과 달리 행정부처나 자치단체의 경우엔 그런 사례가 없다.
정년이 1년 남짓 정도밖에 안 남은 시점에서 특별한 자리를 보장받지 않을 경우 굳이 스스로 물러날 이유가 있겠냐는 것이다.
게다가 전임 지사의 우호세력으로 분류되는 인사들을 퇴출시킨다는 ‘살생부’설까지 돌면서 승진 및 교류대상자들은 그야말로 좌불안석이다.
한 공무원은 “조직개편, 인사규모, 지사의 인사스타일 등 변수가 많다보니 예측이 어렵다”면서 “어찌됐든 승진폭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보니 숨 죽이고 지켜보고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