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족형 복합단지로 조성돼 활발한 기업유치가 진행되고 있는 대전시 유성구 관평동 일원 대덕테크노밸리 내 각종 재난사고 예방과 대응을 위한 소방서 신설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소방서 신설은 염홍철 대전시장이 민선 5기 출범과 함께 주요 정책과제로 내세울 만큼 시급한 사업이지만 예산과 인력확보 등의 문제로 난항이 예고된다.
대덕테크노밸리 내 소방서 신설은 지난 2001년 조성사업이 시작된 이후 관련시설 증가와 인근지역의 급속한 개발에 따른 안전망 구축을 위해 2005년 대덕특구 육성계획에 포함, 추진돼 왔다.
이후 시는 소방서 신설계획 및 공유재산관리계획 수립 등 사전절차 이행을 모두 마치고, 지난해 말 26억 원을 들여 부지까지 매입했다.
관평동 1304번지 일원 6629㎡ 부지에 조성되는 가칭 대덕특구 소방서는 2012년까지 69억8700만 원을 들여 연면적 4950㎡,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며 총 112명의 소방인력이 근무하게 된다.
현재 대덕테크노밸리는 아파트 7690가구, 단독주택 487가구 등 주택 8177가구가 건립, 8485세대에 2만 797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첨단기업 463곳이 입주해 근로자 7977명이 종사하고 있다. 이곳은 이미 대규모 도심이 형성됐으며 매년 입주기업과 거주자들이 늘고 있으나 대덕테크노밸리 일대 관평동 일원에는 소방서는 고사하고, 119안전센터 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 덕암119안전센터, 문평119안전센터, 전민119안전센터 등에 지역을 나눠 관할하고 있으나 거리가 멀어 출동시간도 최소 20분 내외로 적지 않다.
또 다수의 공장과 기업, 주택가 등이 밀집해 화재시 인근 북부와 동부소방서에서 대규모 장비와 인력이 출동해야 하지만 거리상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자칫 대형참사로 번질 우려가 있다는 게 소방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시 소방본부에서도 올해 1회 추경예산에 소방서 실시설계비 2억 8000만 원을 반영한 상태지만 일자리 창출이나 복지예산 등에 밀려 누락될 위기에 처해있다.
또 다른 부분은 소방인력 확보 문제다.
대전지역 소방공무원 정원은 1130명으로 현재 1118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현장대응 강화 차원에서 3교대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소방서 신설시 최소 112명의 근무 인력이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현 정원에서 과부족인 12명을 제외하고 100여명의 추가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
소방본부는 소방서 건립이 가시화되면 행정안전부에 총액인건비 증액을 통한 정원 증원을 추진할 예정이지만 정부의 인원감축 정책 등에 맞물려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올해 실시설계가 진행되고 내년부터 본 공사에 착수해야만 예정된 2012년 준공이 가능하다"며 "원활한 기업유치 차원에서 일단 소방서 신설 문제가 시급하며 소방공무원 증원 문제는 차후 논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전시 예산담당 관계자는 "현재 추경예산은 일반예산이 2000억 원 규모이며 열악한 재정여건상 시급한 일자리 창출이나 복지예산 등 법적의무 경비를 우선 편성하면 소방서 신설 관련 예산 배정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특히 소방서 신설은 염홍철 대전시장이 민선 5기 출범과 함께 주요 정책과제로 내세울 만큼 시급한 사업이지만 예산과 인력확보 등의 문제로 난항이 예고된다.
대덕테크노밸리 내 소방서 신설은 지난 2001년 조성사업이 시작된 이후 관련시설 증가와 인근지역의 급속한 개발에 따른 안전망 구축을 위해 2005년 대덕특구 육성계획에 포함, 추진돼 왔다.
이후 시는 소방서 신설계획 및 공유재산관리계획 수립 등 사전절차 이행을 모두 마치고, 지난해 말 26억 원을 들여 부지까지 매입했다.
관평동 1304번지 일원 6629㎡ 부지에 조성되는 가칭 대덕특구 소방서는 2012년까지 69억8700만 원을 들여 연면적 4950㎡,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며 총 112명의 소방인력이 근무하게 된다.
현재 대덕테크노밸리는 아파트 7690가구, 단독주택 487가구 등 주택 8177가구가 건립, 8485세대에 2만 797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첨단기업 463곳이 입주해 근로자 7977명이 종사하고 있다. 이곳은 이미 대규모 도심이 형성됐으며 매년 입주기업과 거주자들이 늘고 있으나 대덕테크노밸리 일대 관평동 일원에는 소방서는 고사하고, 119안전센터 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 덕암119안전센터, 문평119안전센터, 전민119안전센터 등에 지역을 나눠 관할하고 있으나 거리가 멀어 출동시간도 최소 20분 내외로 적지 않다.
또 다수의 공장과 기업, 주택가 등이 밀집해 화재시 인근 북부와 동부소방서에서 대규모 장비와 인력이 출동해야 하지만 거리상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자칫 대형참사로 번질 우려가 있다는 게 소방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시 소방본부에서도 올해 1회 추경예산에 소방서 실시설계비 2억 8000만 원을 반영한 상태지만 일자리 창출이나 복지예산 등에 밀려 누락될 위기에 처해있다.
또 다른 부분은 소방인력 확보 문제다.
대전지역 소방공무원 정원은 1130명으로 현재 1118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현장대응 강화 차원에서 3교대 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소방서 신설시 최소 112명의 근무 인력이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현 정원에서 과부족인 12명을 제외하고 100여명의 추가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
소방본부는 소방서 건립이 가시화되면 행정안전부에 총액인건비 증액을 통한 정원 증원을 추진할 예정이지만 정부의 인원감축 정책 등에 맞물려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올해 실시설계가 진행되고 내년부터 본 공사에 착수해야만 예정된 2012년 준공이 가능하다"며 "원활한 기업유치 차원에서 일단 소방서 신설 문제가 시급하며 소방공무원 증원 문제는 차후 논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전시 예산담당 관계자는 "현재 추경예산은 일반예산이 2000억 원 규모이며 열악한 재정여건상 시급한 일자리 창출이나 복지예산 등 법적의무 경비를 우선 편성하면 소방서 신설 관련 예산 배정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