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 궁동 등의 구도심 지역 뿐만 아니라 둔산·법원 등의 신도심의 매장 공실률도 상승하는 등 대전지역 전역의 자영업 업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대전지역 자영업자의 체감경기BSI는 66.7로 타 광역시 평균(81.3)보다 크게 밑돌았다.
또 올 1분기 대전지역 오피스 공실률은 24.9%, 매장 공실률은 13.3%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지난 2007년에 비해 각각 7.5%포인트, 3.7%포인트 상승, 자영업의 업황부진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대전지역의 자영업자 비율이 전체 고용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사실에 미뤄 자영업 위축으로 지역 경제가 원활치 못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이를 대전지역 자영업 중 비중이 높은 중·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업황 개선이 지연되고 있는 데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외에도 지역 자영업자의 지난 달 현재생활형편CSI(소비자심리지수)는 93으로 임금근로자(101)에 비해 8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상황을 증명하듯 자영업자의 수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대전·충남지역의 자영업자수는 43만 8000명으로 지난 2008년(45만 2000명)에 비해 3.1%(1만 4000명) 감소했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고용주가 운영하는 자영업의 폐업이 크게 늘던 것이 지난해 4분기 이후부터는 상대적으로 더 영세한 자영자(1인 혹은 농림수산업 등 무급가족종사자)의 폐업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지난해 대전·충남지역의 임금근로자는 2008년(109만 6000명)보다 6000명 늘어난 110만 2000명으로 집계돼 대조를 이뤘다.
이와 관련 한은은 고용안정과 더불어 자영업자의 업황 개선역시 서민경제의 안정을 위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은 관계자는 “앞으로 경기 회복세 지속에 따라 자영업 업황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판단되지만 대형·전문업체의 증가, 농수산물 시장의 개방 등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자영업 체질 개선을 위해 신용대출 및 보증 확대 등 금융지원 강화, 불필요한 규제의 완화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13일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대전지역 자영업자의 체감경기BSI는 66.7로 타 광역시 평균(81.3)보다 크게 밑돌았다.
또 올 1분기 대전지역 오피스 공실률은 24.9%, 매장 공실률은 13.3%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지난 2007년에 비해 각각 7.5%포인트, 3.7%포인트 상승, 자영업의 업황부진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대전지역의 자영업자 비율이 전체 고용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사실에 미뤄 자영업 위축으로 지역 경제가 원활치 못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이를 대전지역 자영업 중 비중이 높은 중·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의 업황 개선이 지연되고 있는 데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외에도 지역 자영업자의 지난 달 현재생활형편CSI(소비자심리지수)는 93으로 임금근로자(101)에 비해 8포인트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상황을 증명하듯 자영업자의 수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대전·충남지역의 자영업자수는 43만 8000명으로 지난 2008년(45만 2000명)에 비해 3.1%(1만 4000명) 감소했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고용주가 운영하는 자영업의 폐업이 크게 늘던 것이 지난해 4분기 이후부터는 상대적으로 더 영세한 자영자(1인 혹은 농림수산업 등 무급가족종사자)의 폐업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지난해 대전·충남지역의 임금근로자는 2008년(109만 6000명)보다 6000명 늘어난 110만 2000명으로 집계돼 대조를 이뤘다.
이와 관련 한은은 고용안정과 더불어 자영업자의 업황 개선역시 서민경제의 안정을 위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은 관계자는 “앞으로 경기 회복세 지속에 따라 자영업 업황은 점차 개선될 것으로 판단되지만 대형·전문업체의 증가, 농수산물 시장의 개방 등이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자영업 체질 개선을 위해 신용대출 및 보증 확대 등 금융지원 강화, 불필요한 규제의 완화 등 실효성 있는 방안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