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수의계약으로 진행됐던 초·중학교 수학여행 업체선정이 빠르면 내년부터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이뤄진다는 보도와 관련,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동시에 흘러 나오고 있다.

<본보 2010년 7월 8일자 2면 보도>교육계 등 일각에서는 리베이트 수수 등 그동안 불투명하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왔던 수학여행 계약이 좀 더 투명해지는 등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치고 있다.

그러나 대전지역 여행업체 등 관련업계에서는 자칫 규모가 작은 업체가 입찰에서 아예 제외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나라장터 등록업체 기준설정 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준규 대전시관광협회장은 “그간 음성적으로 이뤄져왔던 숙박업체와의 결탁과 관행적 리베이트를 청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등 (다수공급자계약으로의 전환을) 일단 환영한다”면서도 “그러나 고객만족도를 고려, 적정한 가격이 보장될지 우려된다. 특히 능력 있는 업체를 우선 선정한다는 방침으로 인해 자칫 지역 업체들이 소외되는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우려가 나오는 이유는 보통 나라장터 등록업체 선정기준이 그간의 실적이나 매출규모 등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이뤄진다는 점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 규모가 영세한 지역 여행업체 입장에서는 이같은 실적기준을 맞추기가 쉽지 않아 원천적으로 입찰 참여가 불가능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 여행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기준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실적이나 매출규모 등만을 따졌을 때 이를 충족하능 지역 여행업체는 거의 없을 것이다”면서 “기준 선정에 있어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입찰방식을 바꾸는 것만으로 그간 불거졌던 문제가 완전히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수학여행을 주로 취급해 온 한 업체의 대표는 “학교장 등이 수의계약을 통해 자율적으로 선정했던 것에서 조달청으로 바뀐 것 외에는 달라질 게 별로 없어 보인다”면서 “수학여행계약과 관련된 문제의 근복적 해결을 위해서는 업체 선정시 학부모를 참여시키는 게 우선이다. 학부모 대표가 업체선정에 직접 참여하면 숙박, 식단 등 가격에 적합한 여행업체 선정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조달청 관계자는 “제도 초기엔 아무래도 검증된 업체를 먼저 참여시킬 수밖에 없다”면서 “나라장터 등록업체 선정기준 마련시 관련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조달청과 교과부는 최근 수학여행과 관련된 교육비리를 근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여행, 수련회 등 단체행사를 ‘다수공급자계약’으로 추진키로 하고, 빠르면 내년부터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을 통해 원스톱 구매가 가능토록 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