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래 둔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충북 도내 곳곳에서 입주거부 등 진통이 끊이질 않고 있다.

신규 입주를 위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를 매매하려고 해도 수요가 없어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데다 고분양가에도 투자를 목적으로 대출을 받았다가 대출이자에 허덕이고 있다.

대부분의 입주민들이 자신들의 재산을 ‘올인’해서 주택을 구입한 뒤 대출이자를 받아 더 큰 주택으로 갈아타는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병폐가 지속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분양 당시 계약한 입주민들은 경기상황에 따라 분양가가 떨어지거나 상황이 여의치 않게 되면서 시행사나 시공사를 상대로 고분양가에 따른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면서 집단 반발하고 나섰고, 건설사는 입주·잔금거부에 따른 다른 공사 진행을 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기존 입주민들뿐만 아니라 입주자로부터 잔금을 못 받은 건설사들도 자금이 묶여 또 다른 위기에 처하면서 마치 ‘대란’이라도 온 것처럼 건설업계가 살얼음판을 걸으며 위태롭다.

실제 지난 9일 입주가 시작된 청주의 모 아파트 시공사의 경우 입주자들이 집단으로 입주거부에 들어가면서 연체이자 등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게다가 건설경기가 위축되면서 분양가마저 떨어지게 되면 미분양 물량을 털기 위한 할인분양에 따른 마찰로 번질 공산이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청주 모 아파트 단지는 할인분양에 따른 주민(1000세대) 발전기금으로 건설사에 100억 원을 요구했지만 건설사는 이를 거부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진천에서는 공사 중이던 시공사의 부도로 입주민들이 입주를 하지 못하면서 거처를 마련하느라 입주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내에서 건설사들이 하반기 분양계획을 앞두고 있어 건설업계와 부동산업계는 모처럼 분양 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미분양 물량 해소와 입주거부 등을 해결하지 않고는 ‘분양완료’라는 명답을 얻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자신들의 거래금액보다 분양가가 떨어지면서 이에 대한 보상심리가 작용돼 마찰이 일고 있다”며 “충북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입주거부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장기화될 경우 피해는 모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한진 기자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