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의료관광시장의 선점을 놓고, 전국 주요 자치단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대전의 경우 관련 인프라 및 전문 인력 부족으로 지리적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대전시의 의료관광 육성 프로그램은 표적시장 선정과 마케팅 구상 등 수요 창출에만 집중돼 있어 성형·피부 등 전문 시술에 따른 의료사고 발생이나 고객 불만 제기 시 필요한 보험·보상 등의 문제 발생에 따른 대책 마련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지역을 국제 의료관광의 중심 도시로 육성키로 하고, 국내·외 의료수요자 및 체류형 관광객을 적극 유치해 성형·한방·검진·임플란트 등 특화의료분야를 집중 육성한다고 12일 밝혔다.

또 해외 10개 자매도시를 중심으로 'One-Stop의료도시 대전'이라는 점을 적극 홍보하는 한편 의료관광 상품을 개발, 오는 2012년까지 글로벌 헬스케어 도시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는 이를 위해 이달 중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연내 사무관급 인사를 포함, 3명 이상으로 구성된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관련 예산을 확보해 올해 의료관광객 유치를 위한 홈페이지 구축, 전문 코디네이터 육성 교육비 지원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7월 현재 외국인 환자유치를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등록한 지역 내 병·의원은 62곳으로 전체 병·의원 수가 1000여 곳이 넘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등록률은 6%대 미만에 머물고 있다.

여기에 외국인 환자를 유치, 지역 내 병·의원에 알선해야 할 전문 에이전트사(유치업체)도 4곳에 불과해 질적 향상 이전에 양적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 부산시는 지난 2008년부터 지역 환경에 적합한 의료관광 산업을 전략 육성하기 위해 전담 인력 배치에 이어 지난해 전담 부서를 신설하면서 9여억 원의 관련 예산을 편성·집행했고, 올해에도 10여억 원이 넘는 예산을 편성, 영어·일어 등 5개 국어로 된 전문 홈페이지 구축, 외국인 입원에서 숙박·관광, 보험제도·의료사고 대처 등의 내용을 담은 실무 매뉴얼 제작·보급 등에 한발 앞선 행정적 지원을 펼치고 있다.

서울 강남구나 대구시도 지역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국제의료관광산업을 지목하며, 이미 수년전부터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한편 관련 예산을 편성, 민·관 협력 사업으로 중점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의 관련 전문가들은 "최근 시청을 비롯 지역 의료계가 국제의료관광산업에 뛰어들기 위해 앞 다퉈 준비하고 있지만 정작 전문 인력 및 인프라 구축보다는 관광객 유치에만 혈안이다. 준비도 없이 무작정 유치했을 경우 의료사고 등 문제 발생 시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도시이미지를 떨어뜨리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조언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