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한범덕 청주시장의 첫 고위직 인사가 '논공행상'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특히 한 시장이 인사 전부터 간부공무원 워크숍을 갖는 등 인사·조직분야 쇄신을 강조해왔던 터라 더욱 잡음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 과정에서 거론된 예측가능하고 능력위주의 인사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청주시는 12일 청내 행정직 서기관 전체 8자리 중 의회사무국장과 청주고인쇄박물관장 등 2자리를 제외한 6자리를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이와 함께 총무과장과 자치행정과장 등 주요 사무관 인사도 병행 실시했다.
당초 이번 인사는 전임시장 당시 능력은 고려되지 않은 채 승진이나 주요 보직을 차지한 일부 간부들과 6·2지방선거 과정에서 특정후보에 대한 지나친 '줄서기'로 논란을 샀던 간부들이 인사대상에 대거 포함되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집중됐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청내 안팎에서는 선거과정에서 한 시장 측에 선 인사들은 인사상 특혜를 받은 반면 상대측에 선 인물들은 주요직에서 물러나게 됐다며 역시 구태인 '논공행상' 인사를 탈피하지 못했다는 비난이 잇따르고 있다.
이번 인사 결과 전임시장 당시 능력과 상관없이 인사상 특혜를 보고 주요보직에 오른 특정 직원뿐만 아니라 전임시장 측근으로 분류됐던 간부공무원 일부가 일제히 주요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이를 두고 시는 인사·조직분야 쇄신을 위해 상징적으로 관련 부서장을 각각 전보발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임시장 시절 업무능력이 아닌 소위 단순한 충성도로 승진까지 한 고위간부가 이번 인사에서도 주요보직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자 의심의 눈초리가 집중되고 있다. 이 간부는 지방선거 초기 전임시장의 줄에 섰다가 선거결과가 한 치 앞도 가늠하기 어려운 양상을 띠자 슬그머니 '양다리'를 걸치고 현 시장의 당선을 도운 것으로 전해지는 인물이다.
사무관급 인사에서의 논공행상은 더욱 노골적이 됐다. 주요보직에 오른 일부 직원의 경우 한 시장과 고교동문인 데다 당선을 공공연하게 도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역시 이번 인사에서 주요보직을 받은 또다른 사무관은 부인과 자녀까지 동원하며 한 시장의 선거운동을 지원했던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부는 업무능력 부족과 부하직원들과의 융화력 부재가 문제됐던 인물이어서 더욱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취임 전 부터 선거로인한 보복인사 금지와 능력위주 인사를 공식적으로 밝혀왔던 한 시장에 대한 실망감이 크다는 반응이다. 특히 조만간 있을 후속인사에서도 한 시장의 선거운동을 지원한 공무원들의 특혜가 잇따를 지 주목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전임시장 시절 측근들은 일제히 주요보직에서 물러난 반면 선거당시 현 시장에게 줄서기를 한 인물들은 일제히 주요보직으로 자리를 옮기게 됐는데 어떻게 선거관련 논공행상 인사가 아니라고 설명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또다른 간부 공무원은 "연공서열이 우선되는 예측가능한 인사가 돼야한다고는 하지만 업무능력을 전혀 고려치 않는다면 원활한 시정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며 "혹여 (한 시장에게)줄을 댄 인물들이 대부분 최고참이자 이들을 위해 연공서열을 우선하겠다는 전제를 깔아놓은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한편 한 시장은 이날 오전 주간업무보고 자리에서 "현재 직원들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능력 위주로 발탁해 인사를 할 수 없다"며 "이 때문에 해당 인사부서의 시스템으로 인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특히 한 시장이 인사 전부터 간부공무원 워크숍을 갖는 등 인사·조직분야 쇄신을 강조해왔던 터라 더욱 잡음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 과정에서 거론된 예측가능하고 능력위주의 인사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청주시는 12일 청내 행정직 서기관 전체 8자리 중 의회사무국장과 청주고인쇄박물관장 등 2자리를 제외한 6자리를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이와 함께 총무과장과 자치행정과장 등 주요 사무관 인사도 병행 실시했다.
당초 이번 인사는 전임시장 당시 능력은 고려되지 않은 채 승진이나 주요 보직을 차지한 일부 간부들과 6·2지방선거 과정에서 특정후보에 대한 지나친 '줄서기'로 논란을 샀던 간부들이 인사대상에 대거 포함되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집중됐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청내 안팎에서는 선거과정에서 한 시장 측에 선 인사들은 인사상 특혜를 받은 반면 상대측에 선 인물들은 주요직에서 물러나게 됐다며 역시 구태인 '논공행상' 인사를 탈피하지 못했다는 비난이 잇따르고 있다.
이번 인사 결과 전임시장 당시 능력과 상관없이 인사상 특혜를 보고 주요보직에 오른 특정 직원뿐만 아니라 전임시장 측근으로 분류됐던 간부공무원 일부가 일제히 주요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이를 두고 시는 인사·조직분야 쇄신을 위해 상징적으로 관련 부서장을 각각 전보발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임시장 시절 업무능력이 아닌 소위 단순한 충성도로 승진까지 한 고위간부가 이번 인사에서도 주요보직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자 의심의 눈초리가 집중되고 있다. 이 간부는 지방선거 초기 전임시장의 줄에 섰다가 선거결과가 한 치 앞도 가늠하기 어려운 양상을 띠자 슬그머니 '양다리'를 걸치고 현 시장의 당선을 도운 것으로 전해지는 인물이다.
사무관급 인사에서의 논공행상은 더욱 노골적이 됐다. 주요보직에 오른 일부 직원의 경우 한 시장과 고교동문인 데다 당선을 공공연하게 도운 인물이기 때문이다.
역시 이번 인사에서 주요보직을 받은 또다른 사무관은 부인과 자녀까지 동원하며 한 시장의 선거운동을 지원했던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부는 업무능력 부족과 부하직원들과의 융화력 부재가 문제됐던 인물이어서 더욱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취임 전 부터 선거로인한 보복인사 금지와 능력위주 인사를 공식적으로 밝혀왔던 한 시장에 대한 실망감이 크다는 반응이다. 특히 조만간 있을 후속인사에서도 한 시장의 선거운동을 지원한 공무원들의 특혜가 잇따를 지 주목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전임시장 시절 측근들은 일제히 주요보직에서 물러난 반면 선거당시 현 시장에게 줄서기를 한 인물들은 일제히 주요보직으로 자리를 옮기게 됐는데 어떻게 선거관련 논공행상 인사가 아니라고 설명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또다른 간부 공무원은 "연공서열이 우선되는 예측가능한 인사가 돼야한다고는 하지만 업무능력을 전혀 고려치 않는다면 원활한 시정을 기대할 수 있겠느냐"며 "혹여 (한 시장에게)줄을 댄 인물들이 대부분 최고참이자 이들을 위해 연공서열을 우선하겠다는 전제를 깔아놓은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한편 한 시장은 이날 오전 주간업무보고 자리에서 "현재 직원들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능력 위주로 발탁해 인사를 할 수 없다"며 "이 때문에 해당 인사부서의 시스템으로 인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