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보다 이른 금리 상승과 연내 추가 인상 시사 등으로 중소기업과 서민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현실화 되고 있다.

기준금리는 지난 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0.25%포인트 오른 연 2.25%로 인상됐다.

게다가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인상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는 분석 결과로 미뤄볼 때 취약계층의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개인의 이자부 부채는 863조 6000억 원, 비금융 법인의 이자부 부채는 819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와 기업이 금융회사에 이자를 물어야 하는 빚 원금은 모두 1683조 4000억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30조 원 가까이 늘어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들이 기준금리 인상분만큼 변동 금리형 대출의 금리를 인상할 경우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은 더욱 불어나게 된다.

실제 시중은행들이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 주중 예금금리를 줄줄이 인상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소기업과 서민들의 이자부담 가중이 현실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 등 감독기관들은 상환기간 연장 및 코픽스 잔액기준 대출 상품 개발 장려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시장 충격이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금리 인상은 이미 예견된 상황일 뿐 아니라 경제 정상화 과정의 일환”이라며 “이번 금리인상 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영향이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