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천안을 보궐선거 후보자 등록(7월 13~14일)이 임박해 지면서 각 후보자간의 정책과 공약 대결이 치열해 지고 있다.

각 후보가 처음 정면 충돌한 것은 최근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되면서 ‘원안+a’논란의 핵심이 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과학벨트)’의 천안유치와 관련돼서다.

한나라당 김호연 후보가 과학벨트 천안 유치를 주장하고 나서자 민주당과 선진당은 김 후보의 사퇴를 촉구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김호연 후보는 지난 7일 천안시 성정동 선거사무소 개소식에서 과학벨트의 천안 유치를 최우선 공약으로 내세웠다.

김 후보는 이날 "천안이 중부권 핵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천안은 지리·문화·산업적 여건이 국제벨트 유치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하고, '과학벨트유치위원회'를 꾸리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 의장이 같은 날 오후 천안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후보의 과학벨트 유치에 대해 ‘야비한 공약’이라고 비난하면서 각 정당간의 성명전이 연일 이어졌다.

이날 민주당은 "세종시 원안에 이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계획안이 포함돼 있어 천안 유치를 주장하는 것은 시·도간 갈등과 충돌을 야기해 집권여당으로서 옳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자유선진당 박중현 후보는 김 후보의 과학벨트 유치 공약에 대해 “세종시에 입주키로 계획되어 있는 과학벨트를 천안에 유치하겠다는 것은 표만 된다면 염치도 없이, 무슨 짓이라도 하겠다는 발상”이라며 “국회의원 자격이 없는 김 후보는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김호연 후보 측은 9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최적지는 천안이다’라는 성명을 통해 “과학벨트를 충청권에 유치하겠다는 것은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공약이었다”며 “천안은 지난해 11월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벨트 추진위원단이 전국 18개 도시를 선별해 실시한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입지선정 방안' 용역조사에서 최적지(1위)로 선정된 바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주요 정당 후보들이 과학벨트 유치와 관련 이전투구의 논쟁을 이어갈 경우 세종시 원안추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원장이 과학벨트 천안 유치를 ‘야비한 공약’이라고 몰아세운 것과는 달리 민주당 박완주 후보 캠프는 ‘원칙적 적극 찬성’ 입장을 밝혀 중앙당과의 체감온도 차이를 보였다.

박완주 후보 측은 9일 성명을 통해 “과학벨트 천안유치를 적극적으로 찬성한다”고 전제하고 “다만, 대통령과 한나라당 정부가 세종시 원안 흔들기 차원에서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 공약 자체를 백지화하려는 지금 상황에선 충청권의 단결과 합심을 통해 당초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하는 게 우선”이라고 선을 그었다.

천안=이의형 기자 eule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