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출범을 알린지 채 열흘도 되지 않아 벌써부터 충북도내 지자체 산하단체 또는 출연기관의 정무직 자리를 놓고 잡음이 무성하다.
일부 임기 종료를 앞둔 인사가 자리를 연명하기 위해 새 단체장에게 '줄대기'를 하는가 하면 임기가 보장돼 있는 인사를 압박해 스스로 물러나게 하려는 움직임까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A 지자체 산하 체육회 사무국장B 씨의 경우 환갑이 훨씬 넘은 데다 올 연말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지만 자리연명을 위해 최근 새 단체장의 눈에 들려는 노골적인 행보를 보여 주위의 눈총을 사고 있다.
특히 B 씨는 선거당시에는 현 단체장 상대후보에 줄을 서 공공연하게 선거운동을 도왔던 것으로 알려져 더욱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반면 C 지자체 고위간부로 재직중이다 지난해 산하 직속기관장으로 자리를 옮긴 D 씨와 관련해선 임기를 3년 가량 남겨두고 있음에도 최근 조기사퇴 압박을 받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D 씨는 정년 2년을 남겨두고 명예퇴직을 하는 조건으로 충북도 산하 교육기관장 임기 4년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최근 단체장 교체가 이뤄지면서 남은 임기와 상관없이 제사람심기를 위해 조기사퇴를 종용받고 있다는 것이다.
E 지자체 산하 체육회 핵심간부 F 씨 역시 전문 체육인 출신으로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음에도 임기 9개월 여를 앞두고 자진퇴진 압박설이 나돌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관선에서 민선으로 바뀌면서 지자체 산하 정무직 자리가 단체장의 선거를 도운 인물들의 보은용으로 여겨지고 있다"며 "이 때문에 보장된 임기와 전문성까지 무시해가며 자리다툼을 벌이는 것은 민선의 대표적 폐해"라고 지적했다.
한편에선 민선5기 출범과 발맞춰 능력이나 경력과 관계없이 소위 '낙하산인사'를 통해 자리를 보전하고 있는 민선4기 인사들은 자진퇴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새어나오고 있다.
실례로 G 지자체 산하 봉사단체장 H 씨의 경우 봉사단체 활동 경력이 전무했지만 민선4기 단체장의 혜택에 힘입어 지난 2006년 취임했고, 또다시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2009년 재선임됐다. 이 때문에 최근까지도 자격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한 지역인사는 "정무직 인사는 단체장의 고유권한이기는 하지만 아무리 낙하산 인사를 하더라도 경력, 전문성, 나이 등은 고려돼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일부 능력검증 없이 선거운동 참여에 따른 논공행상으로 자리를 보전하고 있는 고령의 인사들은 능력있는 후배들을 위해 스스로 물러나주는 미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일부 임기 종료를 앞둔 인사가 자리를 연명하기 위해 새 단체장에게 '줄대기'를 하는가 하면 임기가 보장돼 있는 인사를 압박해 스스로 물러나게 하려는 움직임까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A 지자체 산하 체육회 사무국장B 씨의 경우 환갑이 훨씬 넘은 데다 올 연말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지만 자리연명을 위해 최근 새 단체장의 눈에 들려는 노골적인 행보를 보여 주위의 눈총을 사고 있다.
특히 B 씨는 선거당시에는 현 단체장 상대후보에 줄을 서 공공연하게 선거운동을 도왔던 것으로 알려져 더욱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반면 C 지자체 고위간부로 재직중이다 지난해 산하 직속기관장으로 자리를 옮긴 D 씨와 관련해선 임기를 3년 가량 남겨두고 있음에도 최근 조기사퇴 압박을 받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D 씨는 정년 2년을 남겨두고 명예퇴직을 하는 조건으로 충북도 산하 교육기관장 임기 4년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최근 단체장 교체가 이뤄지면서 남은 임기와 상관없이 제사람심기를 위해 조기사퇴를 종용받고 있다는 것이다.
E 지자체 산하 체육회 핵심간부 F 씨 역시 전문 체육인 출신으로 그 능력을 인정받고 있음에도 임기 9개월 여를 앞두고 자진퇴진 압박설이 나돌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관선에서 민선으로 바뀌면서 지자체 산하 정무직 자리가 단체장의 선거를 도운 인물들의 보은용으로 여겨지고 있다"며 "이 때문에 보장된 임기와 전문성까지 무시해가며 자리다툼을 벌이는 것은 민선의 대표적 폐해"라고 지적했다.
한편에선 민선5기 출범과 발맞춰 능력이나 경력과 관계없이 소위 '낙하산인사'를 통해 자리를 보전하고 있는 민선4기 인사들은 자진퇴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새어나오고 있다.
실례로 G 지자체 산하 봉사단체장 H 씨의 경우 봉사단체 활동 경력이 전무했지만 민선4기 단체장의 혜택에 힘입어 지난 2006년 취임했고, 또다시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2009년 재선임됐다. 이 때문에 최근까지도 자격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한 지역인사는 "정무직 인사는 단체장의 고유권한이기는 하지만 아무리 낙하산 인사를 하더라도 경력, 전문성, 나이 등은 고려돼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일부 능력검증 없이 선거운동 참여에 따른 논공행상으로 자리를 보전하고 있는 고령의 인사들은 능력있는 후배들을 위해 스스로 물러나주는 미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