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대전시 복지정책의 시작과 끝은 ‘복지만두레’가 전담하게 된다.

대전시는 염홍철 시장의 대표 복지공약인 복지만두레를 민·관협력의 복지모델로 발전시키기로 하고, 이 사업을 수행할 기관에 대전복지재단(가칭)을 지정, 설립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시는 현재 공공부문에서 사회안전망을 담당하고 있지만 조직과 기능, 인력과 재정의 한계로 한계에 봉착했다고 판단, 민간부문에서 그 역할을 분담해 효율성을 높이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지만두레의 부활을 적극 추진한다.

특히 염 시장이 제시한 민·관협치 체계의 중심축으로 복지만두레를 들며, 기존의 관 주도의 복지정책에서 탈피, 민간의 역할과 기능이 강화된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새롭게 구축키로 했다.

시는 지난 4년 간 방치됐던 복지만두레의 활성화를 위해 조직재정비 및 공급자원 확충에 나섰으며, 기관·단체·민간기업과 1:1멘토-멘티결연 등 전 대전시민의 참여를 유도, 휴먼네트워크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기존 복지만두레 조직과 함께 현재 사회서비스사업단 및 지역 자원봉사단체 등 각계각층을 참여시켜 복지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공급을 앞당겨 시행키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5일 각 구청에 복지만두레의 현황 파악 및 의견수렴을 위한 작업에 돌입했으며, 시에 복지만두레 정책을 담당할 조직과 인원을 배치하고, 올 하반기 추경 편성에 3000만~4000만 원의 사업비를 신청한 상태다.

또 기존 복지시스템의 유사 기능을 통합키로 하고, 통합된 복지지원은 복지만두레로 흡수, 일괄 운용키로 했으며, 이를 담당할 기관으로 대전복지재단의 설립을 기정사실화했다.

복지재단은 시의 복지정책을 위임, 수행하게 되며, 관내 모든 복지기관 및 협회·단체의 지원창구로 활용될 계획이다.

무지개프로젝트도 민선5기 동안 대전의 도시재생사업으로 계속 추진된다.

시는 '복지=복지만두레·도시재생=무지개프로젝트'라는 공식이 성립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키로 했으며, 순수 복지나 도시행정이 아닌 종합행정을 복지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날 조규상 시 복지여성국장은 "복지와 도시재생은 '대전시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하나의 목표다. 민선5기 대전의 복지정책은 기능적 통합과 함께 관 주도가 아닌 민·관 협력사업으로 추진될 것"이라며 "이달 중 전문가 자문 및 시민들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복지재단 및 복지만두레의 기본 방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