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자로 단행된 경찰 총경급 하반기 전보인사는 '총경급 보직 합리화 방안'에 따른 인사기조가 유지됐다는 평이다.
토착비리 척결을 위한 향피제 적용, 동일 지방청 3년 이상 연속근무자 권역 내 타청배치 등을 원칙으로 한 인사지침이 철저히 적용됐다는 게 중론이다.
◆인사기조 유지
이번 인사에서 충북은 일부 총경들의 건강문제 등 변수가 작용하면서 경찰서장 4명이 교체됐고, 9명의 총경들이 충북경찰청 참모급으로 임명됐다.
우선 서장급 전보인사를 놓고 볼 때 청주흥덕서장에 임명된 김택준(50·간부후보 33기) 대전청 생활안전과장은 충남 서산 출신이다.
김 서장은 경정 이후부터 줄곧 충남과 대전에서만 근무하다 이번에 청주로 발령받았다.
신임 제천서장으로 부임한 이기태(58·간부후보 26기) 경기청 3부 보안과장 역시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총경 승진 해인 2001년부터 8년간 경기와 서울지역에서만 근무했다.
괴산서장으로 발령된 이문수(49·간부후보 36기) 충북청 수사과장도 충남 부여출신으로 서울마포서 수사과장 등 수도권에서 근무하다 총경승진과 함께 지난해 충북에 내려왔다.
윤대표(58·경사특채) 신임 보은서장도 영동 출신으로 총경승진 후 영동·괴산서장을 지낸 뒤 이번 인사 전까지 서울 등 수도권에서만 근무했다.
충북청 참모급 인사에 있어서는 홍보담당관에 임명된 김경원(45·경대5기) 대구청 생활안전과장을 제외하곤 8명 대부분 경찰치안정책과정을 수료한 총경들로 인사지침에 따라 참모보직을 부여받았다.
'동일지방청 3년이상 연속 근무자는 권역권 내 타청배치하라'는 인사지침도 적용됐다.
충북에서는 이찬규(46·경대2기)·홍동표(58·간부후보 29기)·이세민(49·경대1기)·유승원(59·간부후보 28기)·이원구(57·일반)·박세호(49·간부후보 36기) 총경 등 6명이 대상자였다.
지침에 따라 이원구 경무과장이 충남 천안서북서장으로, 박세호 정보과장이 대전 둔산서장으로 각각 발령됐다.
홍동표 전 청주흥덕서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최근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세민 충주서장과 유승원 옥천서장은 서장임기(1년6개월)가 남아있어 제외됐다.
서장임기를 마친 이찬규 청주상당서장은 경찰치안정책과정 입교를 희망했지만 이례적으로 유임됐다.
◆향피제 찬성론 우세
이번 인사는 경찰서장이 출신지나 연고지를 피해 보직을 부여한다는 향피제에 따라 권역 내 다른 지방청에 배치한 점이 눈길을 끈다.
충북도내 일선서장으로 발령받은 4명의 총경과 충북출신으로 대전·충남으로 전보된 2명의 총경만 봐도 향피제적용이 철저하게 이뤄졌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이무영 경찰청장 시절인 2000년 운영됐다 사라진 향피제 부활을 놓고 경찰내부에서의 찬반논란은 여전하다.
향피제에 따라 연고가 없는 곳에서 근무하면 토착세력에 휘말리지 않고 엄정하게 법집행을 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지역 실정에 어두워 치안정책 추진에 다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 등을 고려하더라도 청렴도 제고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다보니 향피제 적용을 찬성하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충북만 봐도 그간 경찰수사의 '무풍지대'로 인식돼왔던 지역 정·재계는 물론 언론사에 대해서도 성역없는 수사를 진행해왔고, '현직 군수 구속' 등의 굵직한 결과물을 내놓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앞으로도 공정하고 합리적인 인사문화 정착을 위해 향피제 등 '총경급 보직 합리화 방안'에 따른 인사원칙이 최대한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토착비리 척결을 위한 향피제 적용, 동일 지방청 3년 이상 연속근무자 권역 내 타청배치 등을 원칙으로 한 인사지침이 철저히 적용됐다는 게 중론이다.
◆인사기조 유지
이번 인사에서 충북은 일부 총경들의 건강문제 등 변수가 작용하면서 경찰서장 4명이 교체됐고, 9명의 총경들이 충북경찰청 참모급으로 임명됐다.
우선 서장급 전보인사를 놓고 볼 때 청주흥덕서장에 임명된 김택준(50·간부후보 33기) 대전청 생활안전과장은 충남 서산 출신이다.
김 서장은 경정 이후부터 줄곧 충남과 대전에서만 근무하다 이번에 청주로 발령받았다.
신임 제천서장으로 부임한 이기태(58·간부후보 26기) 경기청 3부 보안과장 역시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총경 승진 해인 2001년부터 8년간 경기와 서울지역에서만 근무했다.
괴산서장으로 발령된 이문수(49·간부후보 36기) 충북청 수사과장도 충남 부여출신으로 서울마포서 수사과장 등 수도권에서 근무하다 총경승진과 함께 지난해 충북에 내려왔다.
윤대표(58·경사특채) 신임 보은서장도 영동 출신으로 총경승진 후 영동·괴산서장을 지낸 뒤 이번 인사 전까지 서울 등 수도권에서만 근무했다.
충북청 참모급 인사에 있어서는 홍보담당관에 임명된 김경원(45·경대5기) 대구청 생활안전과장을 제외하곤 8명 대부분 경찰치안정책과정을 수료한 총경들로 인사지침에 따라 참모보직을 부여받았다.
'동일지방청 3년이상 연속 근무자는 권역권 내 타청배치하라'는 인사지침도 적용됐다.
충북에서는 이찬규(46·경대2기)·홍동표(58·간부후보 29기)·이세민(49·경대1기)·유승원(59·간부후보 28기)·이원구(57·일반)·박세호(49·간부후보 36기) 총경 등 6명이 대상자였다.
지침에 따라 이원구 경무과장이 충남 천안서북서장으로, 박세호 정보과장이 대전 둔산서장으로 각각 발령됐다.
홍동표 전 청주흥덕서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최근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세민 충주서장과 유승원 옥천서장은 서장임기(1년6개월)가 남아있어 제외됐다.
서장임기를 마친 이찬규 청주상당서장은 경찰치안정책과정 입교를 희망했지만 이례적으로 유임됐다.
◆향피제 찬성론 우세
이번 인사는 경찰서장이 출신지나 연고지를 피해 보직을 부여한다는 향피제에 따라 권역 내 다른 지방청에 배치한 점이 눈길을 끈다.
충북도내 일선서장으로 발령받은 4명의 총경과 충북출신으로 대전·충남으로 전보된 2명의 총경만 봐도 향피제적용이 철저하게 이뤄졌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이무영 경찰청장 시절인 2000년 운영됐다 사라진 향피제 부활을 놓고 경찰내부에서의 찬반논란은 여전하다.
향피제에 따라 연고가 없는 곳에서 근무하면 토착세력에 휘말리지 않고 엄정하게 법집행을 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지역 실정에 어두워 치안정책 추진에 다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우려 등을 고려하더라도 청렴도 제고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다보니 향피제 적용을 찬성하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충북만 봐도 그간 경찰수사의 '무풍지대'로 인식돼왔던 지역 정·재계는 물론 언론사에 대해서도 성역없는 수사를 진행해왔고, '현직 군수 구속' 등의 굵직한 결과물을 내놓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앞으로도 공정하고 합리적인 인사문화 정착을 위해 향피제 등 '총경급 보직 합리화 방안'에 따른 인사원칙이 최대한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