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지만 ‘자족기능’ 강화를 비롯해 각종 대학과 기업 유치 등 이른바 ‘플러스 알파’ 논란이 한나라당 내 친이(친 이명박)와 친박(친 박근혜) 간 계파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자족기능’을 문제삼아 세종시를 수정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웠던 정부는 세종시 수정안이 폐기되자 원안이 될 경우 ‘플러스 알파’는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친박으로부터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게다가 참여정부의 공약인 세종시 건설을 놓고 오랫동안 갈등을 겪어온 데 이어, 이번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대선 핵심공약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놓고, 세종시 수정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만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또 다른 논란을 야기할 것으로 우려된다.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권은 세종시 플러스 알파와 관련, 세종시 원안에 모두 포함돼 있는 만큼 원안대로만 건설하면 플러스 알파 논란은 무의미 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세종시가 원안 건설로 가닥을 잡았지만 정부가 지적했던 자족기능 보완을 둘러싸고 또 다른 여권발 세종시 갈등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야권은 또 수정안 폐기로 “플러스 알파는 없다”는 정부의 입장을 ‘몽니’라고 규정하고, 정부는 적극적으로 세종시 원안 건설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플러스 알파를 내세워 국민을 협박하는 것은 몽니일 뿐”이라며 “이명박 대통령은 더 이상 미련을 갖지 말고 하루빨리 세종시를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선진당 이회창 대표도 이날 충남도당에서 열린 7·28 보궐선거 대책회의에서 “세종시 수정안에 담겨있던 기업과 학교 유치 계획들, 소위 인센티브들이 사실은 원안의 실현계획 가운데 상당 부분 포함돼 있다”며 “수정안을 추진하기 위한 입법 과정에서 수정안에 포함된 세제 또는 토지 저가 제공에 관한 여러 법안들도 결국 이루지 못했다. 이에 따라 원안추진 차원에서 필요한 세제, 토지공급에 관한 필요한 법적 조치들을 만들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이날 “청와대나 정부, 한나라당 내 친이계 의원들이 수정안 폐기로 인센티브가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것은 보복정치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날선 비판을 가했다.

야권과 충청권 주민들은 또 “세종시는 참여정부의 충청권 공약이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정부의 대선 핵심공약이기 때문에 별개의 사안”이라며 “세종시 수정안이 관철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학비즈니스벨트를 타 지역으로 주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사안”이라고 충청입지를 촉구하고 있다.

아울러 충청 정치권과 주민들은 “세종시 원안추진은 당연하고, 앞으로 대통령의 약속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입지를 위해 힘을 모아 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