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최대 자치구 서구가 민선5기 출범과 함께 분주하다.
박환용 서구청장이 임기 시작과 동시에 서구의 최대 현안인 ‘지역불균형 문제’ 해소에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20년을 묵혀온 지역 불균형현상을 임기 내 마무리한다는 것이 만무하다는 분석이지만 박 구청장은 차근히 해결 방안을 모색, 치적용으로 전락한 해묵은 사업으로 방관하지 않겠다는 각오다.
50여만 명이 거주하는 서구는 △둔산 신흥타운 △도마·변동·가수원·관저 저개발지역 △기성·흑석 농촌지역 등 크게 3개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기형아닌 기형적인 도시인 셈이다.
이에 박 구청장은 △도마·변동·가수원·관저 지역 도시재생사업 △둔산에 집중된 의료·유통·상업시설 등 분산이전 △기성·흑석지역 벤처농업 활성화, 도심접근성 강화 등의 밑그림을 마련해 놓고 있다.
또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반적인 재검토 작업과 용역, 현장답사, 주민의견수렴 등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박 구청장은 “그 동안 지역불균형 문제에 있어 행정당국은 해결방안에 있어 탁상론을 펼치는 것이 전부였다”며 “될수 있는 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자리 창출이나 지역경제활성화 등은 국책사업 및 시책이 반영되지만 지역불균형 현상은 서구만의 단독 현안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구청장은 둔산에 집중된 일부 상업유통시설을 이전, 지역 격차 해소에 신호탄을 터트릴 심산이다.
그는 “현재 구도심 지역에 재개발과 도심재정비 지역으로 지정된 곳이 32곳”이라며 “재개발·재정비는 동네경제가 살아야 추진이 수월하기 때문에 둔산에 집중된 일부 유통·상업시설 이전이 까마득한 일은 아니”라고 말했다.
박 구청장은 지역 생활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는 가기산 전 서구청장이 지역불균형 문제에 있어서는 3선 임기동안 아무런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보완작업에 착수한다.
박 구청장은 “현재로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지역민들의 의견을 종합·세부적으로로 적극 수렴해 결코 치적용으로 평가되지 않도록 도시재생사업, 분산이전, 도시접근성 강화 등 공약을 적극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박환용 서구청장이 임기 시작과 동시에 서구의 최대 현안인 ‘지역불균형 문제’ 해소에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20년을 묵혀온 지역 불균형현상을 임기 내 마무리한다는 것이 만무하다는 분석이지만 박 구청장은 차근히 해결 방안을 모색, 치적용으로 전락한 해묵은 사업으로 방관하지 않겠다는 각오다.
50여만 명이 거주하는 서구는 △둔산 신흥타운 △도마·변동·가수원·관저 저개발지역 △기성·흑석 농촌지역 등 크게 3개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기형아닌 기형적인 도시인 셈이다.
이에 박 구청장은 △도마·변동·가수원·관저 지역 도시재생사업 △둔산에 집중된 의료·유통·상업시설 등 분산이전 △기성·흑석지역 벤처농업 활성화, 도심접근성 강화 등의 밑그림을 마련해 놓고 있다.
또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전반적인 재검토 작업과 용역, 현장답사, 주민의견수렴 등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박 구청장은 “그 동안 지역불균형 문제에 있어 행정당국은 해결방안에 있어 탁상론을 펼치는 것이 전부였다”며 “될수 있는 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자리 창출이나 지역경제활성화 등은 국책사업 및 시책이 반영되지만 지역불균형 현상은 서구만의 단독 현안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구청장은 둔산에 집중된 일부 상업유통시설을 이전, 지역 격차 해소에 신호탄을 터트릴 심산이다.
그는 “현재 구도심 지역에 재개발과 도심재정비 지역으로 지정된 곳이 32곳”이라며 “재개발·재정비는 동네경제가 살아야 추진이 수월하기 때문에 둔산에 집중된 일부 유통·상업시설 이전이 까마득한 일은 아니”라고 말했다.
박 구청장은 지역 생활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는 가기산 전 서구청장이 지역불균형 문제에 있어서는 3선 임기동안 아무런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보완작업에 착수한다.
박 구청장은 “현재로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지역민들의 의견을 종합·세부적으로로 적극 수렴해 결코 치적용으로 평가되지 않도록 도시재생사업, 분산이전, 도시접근성 강화 등 공약을 적극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