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함에 따라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서며 서민들의 이자부담 가중이 우려된다.

3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들어 국민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0.01%포인트 오른 연 4.21~5.51%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등의 대출 금리 역시 0.01%포인트 인상됐다.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대출금리 역시 신규 취급액 기준 금리가 오름세로 돌아선 상황이고, 타 은행들 역시 금리 인상이 확실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 금리 인상이 결정될 경우 향후 대출 금리 인상은 더욱 확산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출구전략이 가시화되면서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 돼 향후 대출금리 뿐 아니라 예금금리까지도 오를 것”이라며 “워낙 장기간 저금리 기조가 이어져 단발성 인상으로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자산가격의 변동성 확대와 가계·중소기업의 채무상환능력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실제 지난 4월 말 기준 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344조 원인 점을 고려할 때 대출금리가 연 0.50%포인트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1조 7000억 원이 늘어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달 29일 발표한 '2010 하반기 대내외 리스크요인' 중 대내적 요인으로 시중금리 인상을 들고 이로 인해 가계부채 문제가 현실화 될 경우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이 금융회사 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권 역시 서민과 중소기업들의 이자 부담 가중이 현실화 될 것이라는 사실에 이견을 두지 않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상승할 경우 아무래도 서민·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의 부담이 커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내부적으로 이들에 대한 향후 대책을 마련해 서민과 금융기관 모두 부담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