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4기 동안 중점 추진됐던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 일부 현안사업이 민선5기에서 표류할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나오고 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지정은 민선4기 핵심현안사업 중 하나로 지난 2월 이명박 대통령이 충북 방문 당시 지원을 약속했었다.

이에따라 충북도는 지난달 지식경제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하면서 지정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도는 이르면 이달 중 지정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지방선거 이후 속도를 내지 못한 채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어 결과를 낙관할 수 없게 됐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지방선거 전까지만해도 관련부처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상황이 달라지고 있는 것 같다”며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중앙부처의 움직임이 눈에 띠게 소극적으로 변한 것 같아 지정여부가 불투명해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국회 지식경제위 소속 민주당 노영민 의원도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촉구했으나 지식경제부의 일정대로라면 오는 11월 경에나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이처럼 올해 안에 지정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속에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지방선거이후 여당 도지사에서 야당 도지사 체제로 넘어가면서 부정적인 시각이 높아지고 있다.

오송메디컬 그린시티 조성사업 등 오송역세권 개발도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민선5기 충북도정 정책기획단은 오송메디컬 그린시티 조성사업 실현 가능성에 대해 면밀한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책기획단은 오송메디컬 그린시티 사업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사업추진 전반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며 부정적 시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오송메디컬 그린시티 조성사업은 민선4기 동안 야심차게 추진돼왔던 핵심현안사업 중 하나로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등에 6조 5000억 원을 투자해 2017년까지 240만 9000㎡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충북도는 △하버드의대 협력병원인 PHS유치 △마그넷스쿨 유치 △마이애미대학교, 부속병원 및 연구소 유치 △에모리대학교 및 부속병원 오송 진출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사업을 적극 추진해왔다.

그러나, 민선5기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지역현안 검토과정에서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오송역세권 개발 차질 우려도 나오고 있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은 물론 6대 국책기관 이전 완료, 메디컬그린시티 조성 계획 등이 발표되면서 오송역 주변지역의 땅값이 크게 올랐다”며 “개발수요에 따른 주변지역 지가상승을 사전에 억제하지 못하면서 개발에 막대한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밝혔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