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자 틀리고 대소문자도 구분못해
총리실·국토부 등 세종청사 정부부처 영문홈피 가관
국회·서울시 등도 영문 표기 규정 무시 국제적 망신
2013년 부활 해수부 아직도 홈피조차 구축하지 않아


메인01-국무총리실영문홈페이지.jpg
▲ 사진 = 국무총리실 홈페이지 캡처


국무총리실과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세종청사에 입주한 중앙행정부처의 영문홈페이지가 오·탈자는 물론 문화재청의 영문표기 규정을 무시한 엉터리 표기로 국제적 망신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를 비롯해 대한민국의 수부(首府)도시인 서울시의 영문 홈피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아 우리나라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영문홈피를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한 정부부처와 자치단체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2000년 고시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영문표기 규정을 무시한 엉터리 영어로 국내외 네티즌들의 혼란을 부채질하고 있어 시급한 수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지난 17년간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국회, 지방자치단체 등 전국 공공기관 영문 홈페이지 오류를 수정해 온 오용웅(75) 부산시 명예통역관에 따르면 정부 세종청사와 서울청사에 입주한 상당수 정부부처는 물론, 국회, 서울시 등의 영문 홈피가 한국식으로 발음하거나 비문법적 표현을 사용하는 '콩글리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해 세계적인 조롱거리가 되고 있다. 

실제, 국무총리실의 경우 이낙연 총리의 활동상을 담은 뉴스에 표기한 ‘Nakdong River’를 ‘Nakdonggang River’(낙동강)로 수정해야 하며, 서울시의 경우 ‘Mayor Park Won Soon’(X)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Mayor Park Won-soon’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세균 국회의장 인사말(the key principle of democracy ? the separation of the three powers ?)은 생뚱맞게 두 개의 물음표(?)가 들어가 있어 이를 삭제해야 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프로필(Profile)의 경우 ‘Kang, Kyung-wha’는 성 다음에 콤마를 삭제해야 올바른 표기이다. 조직도의 ‘Ambassdor for Public Diplomacy(공공외교대사)’도 ‘Ambassador for Public Diplomacy’로 수정해야 한다. 

아울러 국토교통부 위치도의 ‘GEUMGANG’을 ‘GEUMGANG RIVER’(금강)로 바로잡아야 하고, 주소 역시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국토교통부 장관)를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국토교통부)’로 바로잡아야 한다. 장관(Minister)이 주소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조직도 중에서 기업거래정책국의 ‘Business Trade Policy Burreau’를 ‘Business Trade Policy Bureau’로 수정해야 한다. Burreau의 경우 r이 중복 표기돼 있기 때문이다. 또한 Location(찾아오시는 길)에서 ‘Sejong Government Complex’를 ‘Government Complex-Sejong’(정부세종청사)로 바로잡아야 하고, ‘Geum Nam Bridge’를 ‘Geumnam Bridge’(금남교)로 수정해야 한다.

게다가 2013년 3월 박근혜 정부에서 부활한 해양수산부는 아직까지 영문 홈피조차 구축되지 않고 있어 정부정책을 국내·외로 널리 알리기 위한 정부의 최대 화두인 '소통'과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용웅 통역관은 "우리나라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영문홈페이지를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한 모든 정부부처와 자치단체, 공공기관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임용우 기자 winesky@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주요기사 더보기

휴대폰 판매 등 서비스업 몰려, 생활서비스 폐업률 매년 상승, 취업 회피성 창업 위험성 ↑

메인01.jpg
사진 = 연합뉴스

5년간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던 A(29) 씨는 최근 대전 서구에 소규모 매장을 임대해 휴대폰판매점 사업에 뛰어들었다. 

주변에서 하나둘씩 일자리를 찾아가는 친구나 선·후배들을 보면 조급한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다. 원룸 보증금으로 매장 임대 보증금을 낸 A씨는 “휴대폰판매점 수익을 모아 공무원에 재도전하거나 로스쿨 입시 준비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취업난에 휴대폰판매점·피부관리점 등 서비스업 창업에 뛰어드는 대전지역 청년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전국세청에 따르면 4월 대전지역 30세 미만 서비스업 사업자(1506명)는 전년 동월(1305명) 대비 201명(15.4%) 증가했다. 자치구별로 대전 서구가 96명, 유성구 44명, 동·대덕구 각각 22명, 중구가 17명 늘었다.

대전지역 30세 미만 서비스업 신규 사업자의 절반 가량인 48%가 대전 서구에 모인 셈이다.

이를 반영하듯 대전 서구는 청년층 창업 선호 아이템인 휴대폰판매점 및 피부관리점 사업자가 과밀화된 상황이다.

지난 4월 대전 서구의 휴대폰판매점 사업자 수(261명)는 전국 226개 시·군·구 중 가장 많았다.

또 피부관리점(431명)은 세 번째로 많았다. 

휴대폰판매점과 피부관리점은 젊은층이 주 고객으로 트랜드에 민감한 분야라는 점에서 청년층이 선호하는 창업 아이템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소상공인진흥공단에 따르면 대전 서구 둔산1동은 피부관리점 과밀지수(지난해 3분기 최신 기준) 고위험군에 속했고 서구는 대부분 지역이 과밀지수 고위험군에 속해 창업 시 폐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5월 대전 서구의 생활서비스업 폐업률(1%)은 대전 자치구 평균 폐업률(0.6%)을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폐업률이 높은 과밀 업종 창업을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전·세종연구원 관계자는 “대전 서구의 높은 서비스업 폐업률은 과밀화된 업종이 시장 자정 기능을 통해 정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창업 업종은 과밀화된 경우가 많다. 사전조사 등이 부족한 취업 회피성 창업은 폐업 위험이 높기에 청년들의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신인철 기자 pfe@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주요기사 더보기
청주·천안·아산·서산·예산 등 HUG 미분양관리지역 불명예
과잉공급·세종 블랙홀현상 원인, 충남 1천·충북 556가구 미분양


이미지박스1-분양.jpg
▲ ⓒ연합뉴스

충남 천안, 충북 청주 등 충청권 특정 대표 도시들이 ‘미분양관리지역’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2일 수도권 9개 및 지방 20개 등 모두 29개 지역을 ‘10차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해 발표했다.

충청권 지역에선 충남 천안·아산·서산시, 예산군과 충북 청주가 9차에 이어 10차 미분양관리지역 선정현황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미분양관리지역은 최근 3개월 간 미분양 물량이 50% 이상 증가한 지역부터 미분양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지역까지 미분양 발생 위험도가 높은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 주택(분양보증 발급예정인 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공급할 목적으로 사업부지를 매입(매매, 경·공매, 교환 등 일체 취득행위)한 사업자는 분양보증 예비심사 대상에 포함된다.

예비심사를 받지 않으면 향후 분양보증(PF보증 포함)이 거절되기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사업장을 인수(매매, 경·공매 등)하는 경우에도 예비심사를 받은 후 사업부지를 매입해야 분양보증(PF보증 포함)을 받을 수 있다. 사업자의 아파트 공급이 제한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충남 미분양 물량은 지속적으로 늘어 1000가구를 돌파했고, 충북은 여전히 556가구 규모의 미분양 물량을 떠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이들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청약 미달사태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최근 충북 청주 오송바이오폴리스 지구에서 진행된 '오송역 동아 라이크 텐(970가구)'의 청약은 3개 주택형 모두 미달돼 600여가구를 재고물량으로 남겼다. 

'청주 금천 센트럴파크 스타힐스'도 6개 주택형 미달사태를 빚었다. 매머드급 단지인 천안 '두정역 효성해링턴 플레이스(2586가구)' 역시 일부 주택형 상품을 처리하지 못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과잉공급이 문제다. 분양물량 조절 등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집단대출 규제 등 주택시장 불확실성 여파와 함께 세종시 블랙홀 현상까지 맞물리면서, 분위기 반전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고”고 말했다.

한편 5월말 기준 미분양관리지역 미분양 주택은 모두 3만 9445가구로, 전국 미분양 주택 5만 6859가구의 79%를 차지하고 있다.

이승동·심형식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