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7일 인도네시아 서부 누사틍가라 주 롬복 섬. 이곳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인도네시아 정부가 시범 조림 사업을 펴고 있는 곳이다. 2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곳은 열대의 토종 나무가 빽빽이 들어찬 숲이었다고 한다. 누사틍가라 주정부 관계자는 “80년대 후반부터 이곳에 인구가 늘어나면서 주민이 마구잡이로 나무를 베어내기 시작했고, 산불 등으로 숲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 대부분 땅은 국유림이지만, 대대로 이곳에 살아온 주민은 살 집을 짓기 위해, 그리고 먹을 것을 경작하기 위해 벌채를 했다.

산림청 소속으로 한국국제협력단에 파견된 진선필 사무관은 “완전 황폐지는 아니지만, 숲은 거의 파괴된 상태”라고 말했다.

불법 벌채와 화전 개발, 산불 등으로 황폐해진 인도네시아의 산림은 이미 2006년 5900만 ㏊(한국 전체 산림 면적의 9배)에 이르렀다. 해마다 300만㏊가 황폐해지고 있는 셈이다. 인도네시아는 일찌감치 벌거벗은 산림 지역에 나무를 심고 싶었지만, 재정적 여유가 없었다.

이에 코이카는 지난 2010년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첫 조림행사를 하고,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첫 해외 조림사업으로 계속해서 300㏊에 나무를 심는다는 계획이다.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확보하기 위한 한국과 시범 조림사업 대상지로 롬복을 결정한 이유도 남다르다. 진선필 사무관은 “다른 나라들은 1개 지역별로 사업하는데 이번 사업은 시범 조림사업에 이어 롬복 섬 전체로 그 대상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며 “열대우림지역이 아닌 건조지역에 나무를 심는 것이고, 원래 숲이었다가 황폐해진 지역을 다시 숲으로 복원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진 사무관은 그러면서 “롬복 섬 탄소배출권 조림사업은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국제산림협력의 모범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며 “조림을 완료하고 기후변화협약에 사업을 등록하면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첫 탄소배출권 조림 사례가 된다”고 말했다. 산림청과 코이카는 2009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500만 달러를 들여 롬복 섬 동부지역에는 탄소배출권 조림사업을, 중부지역 1만㏊에는 산림훼손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진 사무관은 “이곳에 숲이 생긴다 할지라도 주민은 이곳에 농사를 지을 수 있다”며 “주민의 소득과 복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다시 말해 조림지역의 나무 간격을 기존보다 훨씬 넓게 만들어 주민이 숲도 가꾸고, 농사도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발상이다. 여기에 조림지 나무를 과일나무와 일반 속성나무로 혼합해 과일으로부터 나오는 수익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돕고 있다.

코이카는 인도네시아 곳곳에서 일반 조림 및 육묘 사업도 벌여왔다. 2005~2007년에는 180만 달러를 들여 수도 자카르타 인근 룸핀 지역에 '열대림 임목 종자 관리 및 개발사업'을 진행했다. 30ha 규모의 양묘장을 지어 우수 열대수종의 묘목을 키우는 일이다. 이날 방문한 사업장 곳곳에서는 현지인 근로자 수십 명이 부지런히 묘목을 손질하고 있었다. 진 사무관은 “이곳에서 재배한 묘목들은 4곳의 시험림에 이식해 일정한 크기로 키운 뒤 인도네시아의 황폐 지역을 숲으로 바꾸는 데 쓰인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코이카는 2004년 12월 일어난 남아시아 지진해일로 인도네시아 북부 수마트라 지역에 있는 맹그로브 숲이 파괴되자 2005~2008년 180만 달러를 들여 숲 복원 사업을 지원했다.

당시 사업에 참여했던 현지 관계자는 "조림지로 가는 길목들을 인도네시아 내 반(反)정부 세력이 지배하고 있어 한국 관계자들이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현지를 오가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자카르타·롬복(인도네시아)=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