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업계의 구조조정 공포가 다시 엄습하고 있다. 두 차례에 걸친 구조조정으로 저축은행들의 체질 개선은 다소 나아진 반면 경기불황과 저축은행 이미지 실추로 인한 경영난에 또 다시 업계 재정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기 때문이다. 실제 저축은행 10곳이 자기자본을 모두 날린 것으로 파악됐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심각하게 낮은 저축은행도 무려 11곳에 달했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92개 저축은행의 '2011 회계연도(2011년 7월~2012년 6월)'에 1조 1622억 원의 순손실을 냈다. 2010 회계연도에 영업한 93개 저축은행의 순손실은 2조 2037억 원이었다.이를 기준으로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적자는 큰 폭으로 줄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하지만 영업정지로 올해 신설된 법인을 제외한 86개 저축은행의 2010 회계연도 적자(4014억 원)와 비교하면 적자 규모는 1년 만에 약 2.9배로 늘었다. 모회사 영업정지로 예금보험공사가 관리하는 진흥·경기·영남(이상 한국저축은행 자회사)과 토마토2(토마토저축은행 자회사) 등의 적자가 비교적 많이 늘었다. 서울과 더블유, 현대스위스2, 유니온, 인성, 세종, 아주 등 26곳은 2년 연속 적자에 허덕였다. 실제 금감원은 저축은행 93곳 가운데 43곳(46.2%)이 적자라고 밝혔다.

대형 계열사 중에는 현대스위스 계열이 1·2·3저축은행에서 621억 원, 273억 원, 103억 원씩 적자를 기록해 큰 손실을 냈다. 현대스위스의 경우 내년 5월까지 자본을 확충하면 영업정지를 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대스위스는 현재 일본 금융회사 SBI(Strategic Business Investment)와 인수 또는 증자를 협의 중이다.

또 충북도내 본점을 두고 있는 아주저축은행의 경우 모회사인 아주캐피탈로부터의 자본금 확충을 통한 그동안의 체질 개선에도 불구하고, 891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10곳은 자기자본을 모두 까먹고도 모자라 자본이 완전히 잠식됐다. 이 가운데 6개 저축은행은 대주주가 긴급히 자금을 수혈했거나 자산매각을 추진 중이다.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전체적으로 지난해보다 다소 개선됐다.

그러나 13곳은 BIS 비율이 마이너스 상태로 추락했거나 당국의 감독기준인 5%에 못 미쳤다. 이 가운데 11곳은 BIS 비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퇴출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 또 22곳의 저축은행 BIS 비율도 금융당국의 감독기준인 5%대를 간신히 넘겨 부실화 가능성이 남았다.

BIS 비율이 5% 밑으로 내려가면 적기시정조치(부실 우려 금융회사에 대한 처분)를 받는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발목을 잡은 탓에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고정이하 여신이란 채권을 회수할 수 없거나 손실이 불가피한 대출을 말한다.

이 비율이 상승한 것은 그만큼 대출 부실이 늘었다는 뜻이다. 각 저축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단순 평균하면 2010 회계연도 17.4%에서 2011 회계연도 20.0%로 올랐다. 11곳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30~40%, 다른 10곳은 이 비율이 40%를 넘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30%를 넘는 저축은행은 지난해보다 11곳 늘었다.

금감원은 이번에 집계된 저축은행의 연간 실적을 바탕으로 후속 조치에 착수할 계획이다. BIS 비율이 위험수위로 내려앉은 저축은행에는 자본 확충을 주문하고, 건전성과 수익성이 나빠진 곳에도 자구계획을 마련토록 요구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도 자체적으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마련에 고심 중이다. 업계는 안전성이란 측면을 적극 홍보함으로써 무너진 고객들의 신뢰를 회복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각 저축은행들은 고객 상담과정에서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금융기관이 파산을 하더라도 예금자의 경우 각각 5000만 원(원금과 이자의합계액)을 한도로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청주지역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BIS비율 신장 등 은행의 내부적인 건전성을 신장키 위한 투자와 노력이 이뤄지고 있지만 일련의 저축은행 사태에 따른 일반인들의 신뢰를 회복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고객유치가 힘든 상황에서 이익을 창출할 수 가 없다면 다시 악순환이 되풀이 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2011
완전자본잠식 더블유, 솔브레인, 토마토2, 대원, 삼일, 유니온, 진흥, 경기, 신라, 골든브릿지, 세종 (11개)
당기순손실 대신, 더블유, 서울, 늘푸른, 신민, 오릭스, 하나, 한신, 현대, 현대스위스2, KB, 부산솔로몬, 우리, 토마토2, 화승, 흥국, 대아, 대원, 삼일, 유니온, 진흥, 경기, 영남, 공평, 금화, 신라, 신한, 인성, 인천, 동양, 무등, 스마트, 서일, 세종, 오투, 경남, 제일, 예솔, 스마일, 예쓰, 호남솔로몬, 강원, 아주 (43개)


 

  2011
0% 미만 더블유, 우리, 토마토2, 유니온, 진흥, 경기, 신라, 골든브릿지,세종,오투 (10개)
0~5% 서울, 현대스위스1, 삼일 (3개)
5~10% 늘푸른, 신민, 신안, 현대스위스2, 현대스위스3, 화승,흥국, 엠에스, 참, 영남, 금화, 인천, 한화, 대한, 동양, 무등, 스마트, 서일, 스마일, 예쓰, 호남솔로몬, 강원 (22개)
10~15% 대신, 더케이, 동부, 민국, 스카이, 우리금융, 현대, HK, 고려, 국제, 부산솔로몬, 솔브레인, BS , 대백, 드림, 공평, 남양, 모아, 세람, 신한, 안양, 융창, 인성, 아산, 경남제일, 한성 (26개)
15~20% 삼성, 예가람, 오릭스, 푸른, 하나, 현대스위스4, KB, 구미, 대아, 삼정, 안국, 평택, 한국투자, SC, 예솔, 대명, 아주, 청주 (18개)
20~25% 부산HK, 오성, 영진, 조흥, 진주 (5개)
25% 이상 한신, 부림, 센트럴, 에스앤티, 스타, 예나래 (6개)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