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9.03 겨울철새의 고향 천수만 군무에 빠져들다
[천연기념물 서식지 몽골을 가다]7)희망의 비상…한반도에서 겨울나기

우리 나라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의 고향, 즉 번식지는 주로 러시아와 몽골, 중국의 동부 지역이다. 이 가운데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몽골은 가장 역동적인 생태계의 보고로 꼽힌다. 가장 다양한 조류들이 인간의 간섭없이 덜한 곳에서 나름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겨울철새 월동지에 대해 말하자면 우리 나라에선 주저없이 서산 천수만을 꼽는다.

13목 45과 327종(2007년)의 조류가 이곳 천수만 간척지 A·B지구에서 서식한다. 이중 독수리와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황새, 검독수리, 가창오리 등 희귀조류를 포함한 100여 종의 겨울철새가 천수만에서 겨울을 난다. 가을부터 모여들기 시작해 월동하면서 금강하구나 충남 연기군 미호천 등을 거쳐 전라도 해남, 낙동강 하구 등으로 자리를 옮기기도 한다. 특히 천수만은 동북아시아 전체를 통털어 최고의 맹금류 관찰 장소로 인정받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천수만은 바다를 메워 만든 동북아 최대의 철새 도래지로 1만 5409㏊의 농지와 간월호와 부남호로 이뤄진 곳으로 매년 300여 종 40여만 마리의 철새들이 찾아드는 새들의 낙원이다. 몽골에서 번식한 독수리, 고니, 검독수리 등이 찾아와 월동하는 곳이다. 사진은 가을걷이가 끝난 천수만 들녘을 가득 메운 기러기떼. 우희철 기자
오리류나 기러기류, 멧새류가 많이 찾아오는 겨울에는 가장 다양한 맹금류를 볼 수 있다.

지난해까지 수리과와 매과에 속하는 33종의 매목 조류 가운데 26종이 천수만에서 관찰됐다.

오리와 기러기류를 중심으로한 중대형 조류가 많이 찾아와 먹잇감 역할을 하고 양서류와 파충류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또 사냥하거나 쉬기에 적당한 울창한 숲이 천수만을 감싸고 있는 지형적 특징도 맹금류에겐 매력적인 요소다.

맹금류는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최상위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맹금류의 개체수 및 다양성으로 생태계의 건강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산 천수만은 아직까진 건강한 환경을 유지하고 있다고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조금씩 잦아지는 독수리의 출현


몽골에서 번식해 겨울철 남하하는 독수리의 대부분은 사람의 출입이 제한된 경기도 장단반도와 강원도 철원 DMZ에서 대규모로 월동한다.

이따금 더 밑으로 내려오기도 하는데 서산 천수만도 그중 하나다. 2∼5마리 정도로 극소수지만 2003년 이후 꾸준히 서산 천수만과 해미천 인근에서 독수리가 발견되고 있다.

2003∼2004년 겨울엔 5마리의 독수리가 천수만 간월호를 찾아와 지역 탐조가들을 흥분시키기도 했다. 이중 먹이를 구하지 못해 죽기 직전에 있었던 어린 독수리 한 마리는 지역 환경단체의 도움으로 새 생명을 찾아 고향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지난해엔 검독수리도 천수만 창공에서 포착됐다. 5년 만의 출현이라고 한다. 천수만 간척지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미호천도 관심의 대상이다. 지난 3월 미호천(충북 청원군 강외면) 인근에 15마리의 독수리가 나타났다. '주변 양계장에서 버린 폐닭들이 이들을 불러모은 것으로 보인다. 장단반도나 철원 등 집단 월동지에서의 먹이 부족이 심화되면서 조금씩 더 남하하는 독수리가 늘고 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앞서 1월엔 금강변(충남 연기군 남면) 일대에서 검독수리와 참수리, 흰꼬리수리들이 서식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다양한 맹금류의 서식 확인은 곧 생태계의 건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호수의 발레리나 (큰)고니

천연기념물인 고니(201-1호)와 큰고니(201-2호)도 해마다 천수만 간월호를 찾아 겨울을 난다. 몇 마리만 수면 위를 유유히 떠돌아도 간월호 전체가 우아한 발레 공연장이 된다.

사랑의 하트 무늬를 그려내며 겨울철 탐조객의 발길을 붙잡고 사랑을 독차지하는 것도 바로 고니들이다. 수면위를 박차고 날아 오르는 고니의 힘찬 비상은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고니 무리에 섞여 이따금 넓고 긴 주걱같은 노란색 부리를 이리저리 휘저으며 먹이를 찾는 노랑부리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2호)도 관심을 끄는 천수만의 겨울철새 중 하나다. 긴 다리와 긴 목을 가져 늘씬한 자태를 뽐내는 두루미(천연기념물 202호)와 재두루미(203호), 흑두루미(228호), 황새(199호)들도 겨울 천수만의 값어치를 높여주는 명물로 이미 자리를 잡았다.

▲천수만 대표 홍보 도우미…가창오리

겨울 천수만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가창오리다. 전 세계 개체수의 95%가 우리 나라에서 월동하는 데 천수만과 금강하구가 가장 대표적이다. 석양에 물든 하늘에서 30여만 마리의 가창오리가 연출하는 화려한 군무는 예술작품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다. 모든 형용사를 다 통털어도 모자랄 정도다. 대단위 무리를 이뤄 월동하는 가창오리가 겨우내 머물 수 있는 습지는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전국에 걸쳐 분포했는데 근래 들어 습지에 대한 개발이 무차별적으로 이뤄지면서 아직 개발의 손을 덜 탄 천수만으로 초집중화된 가창오리 무리가 모여들어 군무를 펼치고 있다. 현재 40여만 마리에 이르는 가창오리 무리가 머물 수 있는 습지는 천수만을 비롯해 금강하구와 해남 고천암호, 당진 석문호 정도 밖에 없다.

▲천수만에도 위협은 있다

천수만 간척지가 겨울철새의 최대 보금자리이긴 하지만 이게 영원하리란 보장은 없다.

천수만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의 대부분은 낙곡을 주워먹는 오리류와 기러기류인데 천수만에서의 영농형태가 변하면서 이들의 서식환경도 따라 변하고 있다. 천수만 간척지 농지가 일반에 분양되면서 사람의 출입이 잦아졌고 영농의 효율성이 강조되면서 겨울철새들의 먹이도 따라서 줄어들고 있다. 서산시와 환경단체는 생물종 다양성 관리계약 사업을 추진해 일정부분을 겨울철새의 먹이를 남겨놓고 있지만 겨울철새들에겐 부족하다. 농민과 철새들의 분쟁도 해를 거듭할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몇 년 뒤면 B지구 부남호 주변에 기업도시가 들어서는 데 철새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갈수록 개발 논리를 선호해가는 지역 정서가 철새의 보금자리 천수만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지도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후세가 받아안게 될 예측불허의 고통에 대해 이 시대 사람 모두 책임지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 만큼은 분명하다.

 몽골=이기준 기자 poison93@cctoday.co.kr
 사진=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본 시리즈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기금 지원으로 이뤄졌습니다

[인터뷰]김신환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간척농지 매각 못막아 후회 개발광풍에 먹이 너무 부족"


   
▲ 김신환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 천수만의 자연 생태계, 어떻게 변하고 있나요.


"점점 천혜의 갯벌이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사라져가고 그나마 농지도 기업도시가 드러서는 바람에 골프장으로 바뀌게 생겼다. A지구 간척농지도 대부분 일반에 매각돼 경제논리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철새와 공존하려는 시도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농민은 한 톨이라도 더 수확하려고 애쓸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철새에겐 먹이가 부족할 수 밖에 없다. 농약도 많이 한다. 모두 간월호로 흘러들어 가기 때문에 작은 물고기를 먹고사는 철새들은 곤혹스러울 수 밖에 없다. 새들이 살기 어렵게 점점 변해가고 있다. 간척농지 일반 매각을 막지 못한게 정말 후회스럽다. 후세에 큰 죄를 지었다."

- 서산시와 환경단체가 공동으로 철새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 않나요.

"볏짚존치, 미수학존치, 무논조성 등 철새를 위해 조그마한 사업들을 꾸준히 하고 있지만 이것만 가지곤 부족하다. 그나마 이것도 진정 철새를 위한 것이 아니라 철새기행전을 치르기 위해 마지못해 하는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서산시 홍보할 때만 '세계적인 철새 도래지 천수만'을 내세울 게 아니라 실질적인 보전 방안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국가 차원의 관심도 필수적이다."

- 겨울철새들이 지속적으로 천수만을 찾게 하려면.

"제일 중요한 것은 갯벌 보존이다. 또 친환경적인 영농이 필수적이다. 새들이 살 수 없는 곳에는 우리 인간도 살 수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얼마 전 몽골 탐조를 다녀오셨는데.

"몽골과 우리 나라는 뗄래야 뗄수 없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겨울 철새인 먹황새, 큰고니, 황오리, 개리, 독수리, 검독수리, 말똥가리, 솔개 등 한국에서 월동하는 많은 수의 새들이 몽골에서 번식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몽골의 조류활동가와 긴밀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철새들을 보호하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이제부터라도 활발하게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한다."

 이기준 기자

Posted by 대청호블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