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교육청의 경우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교육부가 포항 지진에 따른 수능 연기는 없다고 발표했던 터라 교육청은 수능 시행준비에만 매달린 것이다. 갑작스러운 수능 연기 결정에 교육청의 대처가 더딜 수 밖에 없었다. 수험생, 학부모를 비롯해 교육현장이 혼란이 빚어졌던 이유이기도 하다. 교육부가 수능 연기 검토가 들어갔던 시점에서 일선 교육청에 ‘검토중 통보만 해줬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충청권 한 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수능 연기 관련된 공문이 내려온것은 브리핑이 끝난 8시 46분경”이라며 “오후 6시 이후에 하달된 공문은 그날 바로 확인 할 수 없는 시스템이다. 공문은 익일 아침에서나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가 포항 지진 발생이후 수능 연기 없다고 발표했던 터라 수능 시행 준비에만 열중해 있었다”며 “교육부에서 검토하고 있었다면 이를 교육청에 알려줘 대책마련할 시간을 줬다면 큰 혼란을 다소나마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기된 수능은 오는 23일 치러진다. 윤희섭 기자 aesup@cctoday.co.kr
알짜뉴스
교육부 늑장대처에 시·도교육청 ‘수능 연기’ 뉴스로 알았다
충투 기자단
2017. 11. 16. 19:40
▲ 포항지진 여파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일주일 연기됬다. 16일 대전의 한 고등학교 수능고사장에서 한 선생님이 답안지 작성유의사항이 적힌 안내문을 걷어내고 있다. 정재훈 기자 jprime@cctoday.co.kr
교육부의 늑장 대처가 수능 연기에 따른 교육현장의 혼란을 키운 것으로 드러났다. 포항 지진 사태로 수능을 연기한 것에는 박수쳐줄만 하지만 교육현장의 혼란을 한 번쯤 생각했다면 이보다 빠른 결정이 아쉽다는게 충청권 교육현장의 공통된 목소리다.
15일 교육부에서 수능 연기 결정 브리핑을 시작한 오후 8시 20분을 훨씬 지난 8시 46분에 교육부는 각교육청에 관련 공문을 발송했다. 수능시험의 전진기지인 각 교육청에서 조차도 뉴스를 통해 수능연기 소식을 접한 것. 충청권 교육청들은 비상이 걸렸다. 대전시교육청의 경우 이날 오후 9시가 넘어서야 대책회의를 열었다. 시교육청은 대책회의가 끝난 오후 9시 30분~10시경 시험지구 및 지역 일선학교장·교감에게 해당학교 휴교와 등교시간 통보가 이뤄졌다. 시교육청에서 각 학교에 관련 공문이 내려간 것은 오후 11시 1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