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9 대선 D-77] 대선주자 3인, 누가 지뢰 밟을까
대선 후보들이 대선 판도에 향배를 가를 ‘장외 변수’를 놓고 셈법이 복잡하다.
대선주자 3인의 지지율이 혼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에서 △투표시간 연장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특검결과 발표 △북한의 도발 가능성 등이 대선 변수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오는 5일부터 열리는 국정감사는 대선 축소판이 될 전망이어서 여야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먼저 대선 투표시간 연장은 여·야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부분이다. 현행 오전 6시에서 오후 6시까지인 투표시간을 3시간 연장, 오후 9시까지 진행할지를 놓고 민주통합당을 비롯한 야권은 찬성한다는 태도지만, 새누리당은 반대하고 있다.
민주당은 역대 대선투표율이 하락추세이고, 임시공휴일인 투표일에도 근무해야 하는 유권자들을 배려하기 위해 투표시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정치불신부터 없애는 게 순서라는 점을 앞세워 민주당의 이 같은 주장은 ‘생색내기’라고 반박하고 있다. 국민 여론 역시 찬반이 팽팽하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4~25일 성인 609명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오후 9시까지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은 48%, ‘오후 6시까지만 해도 충분하다’는 의견은 50%였다.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의혹도 대선의 핵심 변수로 떠오를 조짐이다. 이번 특검의 최종 수사 결과 발표가 대선을 눈앞에 둔 11월 발표된다는 점에서 야당의 공세 강도에 따라 거센 후폭풍이 몰아칠 조짐이다.
이 대통령 또는 부인 김윤옥 여사, 아울러 사저 부지 매입에 직접 관여한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 씨가 직접 특검에 소환될 경우 대선정국은 요동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박근혜 후보로서는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것이며,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측은 이를 쟁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5일 시작되는 국정감사는여야 후보의 친척과 측근들이 대거 증인으로 채택돼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실제 박 후보의 조카사위인 박영우 대유신소재 회장,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이자 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속한 법무법인 부산의 정재성 변호사 등을 국감 증인으로 소환했다. 따라서 이번 국감이 국회의 정부 감시·비판 기능을 통해 국정을 점검하는 것이 아닌 대선의 전초전이 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팽배하다.
북한 도발 가능성 역시 대선판 자체를 흔들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여전히 정치권에선 북한을 무시하지 못할 선거의 변수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잦아진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 및 북한 언론의 대선 관련 보도에 대해 정치권은 정책 선점을 예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대선 주자들의 대북 정책만 놓고 보더라도 박 후보는 ‘안보’에, 문 후보는 ‘통일’에 방점을 찍고 있다. 야권은 4·11 총선 직후 ‘종북’ 논란으로 휘발성을 체감한 탓에 어느 때보다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이주민 기자 sins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