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경기지수 뚝…서비스물가 상승률로 하락세
기존·신규사업자 폐업률은 쑥…"온갖 악재 몰렸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지역 경기가 탈출구 없는 늪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0%대 인상률이지만 경기침체에 서민들이 지갑을 열지 않으면서 내수 경기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2분기(4~6월) 외식산업경기지수는 지난 1분기(1~3월) 보다 0.89p 하락한 65.08로 나타났다. 외식업경기지수는 매해, 매분 기마다 최저치를 갱신하는 중이다.

2014년 71.91에서 △2015년 70.28 △2016년 70.24 △2017년 67.89, 지난해 67.51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분기 깜짝 소폭 반등했지만, 2분기 들어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올해 3분기 외식산업의 경기를 전망하는 외식산업미래경기전망지수는 68.66이였다. 평균적으로 미래경기전망지수가 현재 지수 대비 5p 가량 높은 것을 고려하면 향후 외식산업경기지수는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워라밸'을 중요시하는 흐름이 외식 소비 감소로 이어지고 경기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물가 상승률 하락세도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유통업계의 위기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지난 4월 서비스물가(0.9%)가 0%로 내려앉더니 지난 달에는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외식비는 2015년 1월 이후 상승폭이 가장 작았다.

서비스물가가 0%대로 떨어졌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지 않아 공급자들이 가격을 올리기 어려운 상황이란 점을 의미한다. 결국 경기둔화가 장기화되면서 외식조차 꺼리고 있다는 얘기로 해석 할 수 있다.

대전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54) 씨는 “최저임금 인상의 직격탄을 맞아도 가격을 올리지 않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려고 하고 있지만 손님은 되레 줄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토로했다.

내수부진과 최악의 고용한파에 소비자들의 지갑이 굳게 닫히면서 내수 경기 악순환이 이어지며 지역 경기도 침체로 치닫고 있다.

심지어 대부분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은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폐업을 선택하는 암울한 현실에 내몰리고 있다. 대전지역 휴폐업 업소는 △2015년 1260개소 △2016년 1543개소 △2017년 1698개소 △지난해 6월까지 1633개소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존 사업자 대비 폐업률의 경우 12.3%로 광주와 울산에 이어 전국 3위를 기록해 최근 5년간 꾸준히 상위권에 머물고 있다. 신규 사업자 대비 폐업률 또한 대전이 79.9%로 서울(79%)과 나란히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최저임금으로 인한 인건비 인상, 주 52시간 근무제 등 비용은 갈수록 증가하고 경쟁마저 심화되고 있어 위기 상황은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한다.

지역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저임금 인상, 주 52시간 근무, 워라밸 확산, 소비 심리 축소, 경쟁 심화 등 온갖 악재가 다 몰려왔다”며 “소규모 자본으로 운영할 수 있단 장점 하나만 보고 자영업자들이 뛰어들고 있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에선 가맹점은 물론 프랜차이즈 본부까지도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4338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내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 내포신도시의 인구 증가율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인구 10만명이 거주할 수 있는 자족형 신도시로 계획됐지만 현재 전입 인구는 2만 5000여명에 그치고 있고 본래 기능인 광역도시권 형성도 이뤄지지 않으면서 인근 지역에서는 지속되는 공동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해법으로는 각종 기관과 기업, 대학, 종합병원 등 인프라 조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신도시 건설만으로는 서부지역 발전을 견인해 나가는 데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혁신도시 지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12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내포신도시 인구는 2만 5496명으로 2016년 대규모 아파트단지 준공 이후 증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5~2016년 사이 1만 4000여명(월 평균 580여명)이 증가한 데 반해 2017년은 2579명, 2018년은 2172명으로 점차 증가폭이 줄었고 올해부터는 매월 100여명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신도시 내 이전 완료 기관은 총 97개소로 유입된 인력은 3400여명(가족 제외)으로 추정되며 계획이 잡혀있는 나머지 10개소가 이전을 완료하면 320여명의 인력이 추가 유입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신도시 내 첨단산단이 준공된 뒤 기업 입주가 완료되면 1300여명의 근로자(가족 제외)가 유입되고 인근 예산신소재산단에도 2100여명이 자리를 잡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늘어날 기관과 산단 인력의 가족 구성원을 3명으로 잡아도 총 유입 인구는 1만 1000여명으로 당초 목표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이 때문에 도는 내포 스마트시티, 혁신플랫폼, 자동차대체부품인증지원센터 등 조성과 대학, 종합병원 등 각종 인프라 마련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병원의 경우 종합병원은 10만명 이상, 대학병원은 30만명 이상이 거주해야 입지 조건을 충족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또 대학 조성은 충남대와 내포캠퍼스 조성 협약을 체결하고 부지 매입 절차를 밟고 있지만 충남대가 세종캠퍼스 조성을 동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미뤄지고 있으며 구체적인 조성계획도 확정되지 않았다.

특히 신도시 내 인구 증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진 데다가 전국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까지 겹치면서 아파트 건설계획을 갖고 있던 일부 기업들은 계획을 보류하거나 '리턴'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이처럼 내포신도시가 침체기를 겪으면서 인근 지역에선 공동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신도시 내 인구 이동현황을 살펴보면 홍성과 예산으로부터의 유입이 47.5%로 가장 많고 타 시·도 31.9%, 도내 시·군 20.5% 등 순으로 집계됐다.

앞서 2014년 이뤄진 선행 연구에서도 신도시 주변도시 거주민 37.9%가 이사를 생각 중이며 이 가운데 53.2%는 '신도시 내로 이사를 하겠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인근 지역 상권의 체감은 실제로 이보다도 더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성읍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A(56) 씨는 "내포신도시에 상권이 자리잡은 뒤론 매상이 반토막 수준"이라며 "젊은층은 더욱 보기 힘들어졌고 신도시 조성으로 인한 특수는 오히려 기대하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09154

Posted by 충투 기자단 :
정부의 6·11 지방 미분양 해소대책이 발표된 지 3개월 가까이 돼 가지만 지방의 아파트 분양권 값(분양계약 후 입주 전까지의 입주 권리)은 하락행진하고 있다. 특히 일부 지방에서는 분양가보다 싼 분양권도 등장하고 있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닥터아파트가 6·11 지방 미분양대책이 발표된 직후인 6월 13일부터 지난 2일까지 지방 분양권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0.18%를 기록했다.

정부가 미분양 해소를 위해 6·11 미분양 대책과 8·21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지만 지방의 미분양 물량 적체현상은 여전해 분양권 가격도 덩달아 약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개월여 동안의 분양권 값 변동률을 지역별로 보면 대구지역이 0.49%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대전(-0.26%), 경남(-0.25%) 지역의 분양권 가격도 눈에 띄게 하락했다.

대전은 유성구(-0.31%)와 중구(-0.27%)가 하락세를 견인했다. 실제 대전 유성구 봉산동 봉산휴먼시아 105㎡형의 매매가격이 2개월 동안 500만 원 하락해 1억 6875만∼1억 7875만 원을 형성했다. 중구 태평동 쌍용스윗닷홈예가 148㎡형도 500만 원 떨어진 2억 8000만∼3억 2000만 원 선이다.

분양가보다 싼 분양권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충북이 전체 분양권 물량의 23.38%인 3599가구가 분양가 이하로 시세가 형성돼 있어 비중이 가장 높다.

청주시 사직동 푸르지오캐슬 110㎡형은 시세가 2억 850만 원 선으로, 기준층 분양가(2억 4400만 원)보다 3550만 원 낮다.

중대형 타입을 중심으로 구성된 단지라 자금부담이 큰 타입일수록 분양가 이하로 나오는 매물이 많다. 그러나 앞으로도 지방의 미분양 주택 문제는 쉽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부가 6·11 미분양 주택 대책과 8·21 부동산 대책, 9·1 세제개편안 등을 발표하지만 지방의시장 반응은 냉랭하기만 하다.

주택건설업체 관계자는 "지방에 대해선 정부 차원의 치밀한 주택 정책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특단의 조치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길수 기자 bluesky@cctoday.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