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재필기자'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8.10.31 노래하는 얄개들
  2. 2008.09.29 내가 만난 사람-한인섭

노래하는 얄개들

2008. 10. 31. 10:55 from 사는이야기

빨리 크기를 소망했다. 어른이 되고 싶었다. 소년이 싫었다. 하루에도 여러 번 처마 밑 대들보에 금까지 그어가며 키를 쟀다. 콩나물시루처럼 아침이면 부쩍 커있는 나를 보고 싶었다. 그러나 자라지 않았다. 사춘기는 아프기만 할뿐이었다. 목소리는 변성기를 앓고 가슴은 부질없는 속앓이를 했다. 무서웠다. 꿈조차도 갈기갈기 찢어버리는 처절한 몸부림이었다. 공부를 멀리 하고 친구들과 몰려다니다 보니 자연스럽게 한눈을 팔게 되었다. 다름 아닌 딴따라. 친구들과 <좋은 친구들>이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나는 기타 치는 재주가 없어 부득불 드럼을 맡았다. rock~&~roll.

여름방학이 시작되자 우린 벽촌으로 숨어들어 연습을 시작했다. 제천 두학면 자작리라는 곳인데 퍼스트 기타 겸 보컬을 맡은 친구가 그곳에 살았다. 비포장도로를 한없이 달려 종점에 다다르면 버스 돌릴 공터도 없는 깡촌(강촌)이었다. 그곳에 모인 네 명의 친구는 기타 두 명, 베이시스트, 드럼으로 나뉘어 밤낮으로 연습했다. 버스 종점은 사람을 그리움에 사무치게 하는 습성이 있다. 출발점을 종점으로 하고 종점을 출발점 삼는 버스를 보며 인생이 뭔가하는 감상에 젖는다.

드럼은 용돈을 모아 중고로 구입했다. 주로 연습한 곡은 ‘건아들'의 ’젊은 미소‘였다. 당시 젊은 미소를 완주(完奏)하면 다른 곡들도 쉽게 연주할 수 있다는 소리를 들었었다. 샌드페블즈의 ‘나 어떡해’, 들국화(전인권), 부활(이승철) 등의 곡도 주된 연습곡이었다. 우린 네오나치 패거리들이 선호하는 스킨헤드를 하고는 날마다 쿵쿵따다~쿵쿵따다 했다. 물론 악보 보는 법을 잘 몰라 드럼의 경우 카세트 음악을 들으면서 음계를 카피했다. 들으면서 카피하면 청음능력도 좋아지고 각 파트의 소리의 차이를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나는 악보를 볼 줄도 쓸 줄도 모른다"고 말한 mr.Big의 빌리시안의 말처럼).

림숏, 하이햇 오픈-클로스 같은 기본적인 주법은 대강 교본을 보고 기본적인 레퍼토리를 구성하고 나머지는 대강대강 때렸다. 스네어 드럼(snare Drum)과 하이-헷 심벌(Hi-Hat-cymbal)을 기본으로 치고 크래쉬 심벌(Crash Cymbal), 스몰 탐탐(Small Tom Tom), 라지탐탐(Large Tom Tom), 라이드 심벌(Ride cymbal)등을 기각기 한다. 기각기는 스네어-스몰탐탐-라지 탐탐을 2연음이든지 3연음, 혹은 4연음 등을 리듬, 박자에 맞추어 차례로 돌려치는 것을 말한다. 하이햇이 8비트라면 각기는 16비트로 돌리면 된다. 쿵 딱 쿵 딱 두구두구 두구두구 두구두구 두구두구 챙~, 쿵딱은 킥과 스네어이고 두구두구는 스네어-스몰탐-라지탐-플로어탐을 말한다. 각기를 부드럽게 돌리려면 드럼의 고무판을 제대로 맞춰야 한다. 베이스 드럼(Base Drum)은 큰 북처럼 생긴 것으로 발로 꾹꾹 밟는다. 그런데 손과 발이 따로 놀아야 한다는 게 제일 고역이었다. 스네어드럼은 왼손, 하이-헷 심벌은 오른손, 오른 발로는 베이스드럼을 밟는데 박자에 따라 손발이 낑낑댔다. 엇박자였다.

친구의 집은 가난했다. 때문에 삼시(三時) 세끼가 문제였다. 밥은 있는데 반찬이 없었다. 그렇다고 젊은것들이 모여 공부는 안하고 미친 년 꽹과리 치듯이 놀고 있으니 반찬이 좋을 리 없었다. 1식1찬, 밥과 고추가 전부였다. 청양고추를 된장에 찍어 먹는 게 유일했다. 청춘의 매콤한 반찬, 그래도 젊어서인지 눈물 콧물 다 빼며 맛나게 먹었다.

연습한지 두 달이 넘었을 즈음 초등학교 분교 운동장에서 첫 공연을 했다. 교단에 악기를 설치하고 동네방네 돌아다니면서 홍보를 했다. 심지어는 이장께서 마이크 방송까지 해주었다. 오후6시에 시작한 공연은 단 40분 만에 막을 내렸다. 관객이 30여명에 불과한 것도 맥 빠지는 일이었지만 문제는 공연 자체가 엉망진창이었다. 화음은 둘째 치고 저마다 잘났다고 따로 놀았다. 곡이 맞을 리 없었다. ‘젊은 미소’ 한 곡이 끝나자 관객이 자리를 뜨기 시작했다. 드럼을 치다가 스틱이 날라 가는 사고도 있었다. 악사가 연장을 놓치다니. 완전한 실패였다. 연습이 짧았다는 자위(自慰)는 하나마나였다.

40분 만에 막을 내린 얄개들의 첫 공연은 결국 마지막 공연이 되었다.(그후 드럼을 택시에 싣고 운반하는 도중 사람만 내리고 드럼은 놔두고 내렸다. 멍청한 드럼주인)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야! 알바. 알바트로스가 얼마나 힘들게 비행을 하는지 알어? 바람이 불지 않으면 날수 없는 새.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 날자...살자...."
(2005년 1월 12일 23시32분....한인섭 국장)


한인섭 국장이 나의 싸이월드 방에 들어와 남긴 말이다.
2005년 1월 굿데이신문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퇴로에 섰다.
난 힘들었고 하루빨리 날개를 접고 떠나고 싶었다. 그러나 회생의 길을 찾아 동분서주하던 한인섭 당시 굿데이신문사장은 끝까지 힘내자며 동행을 요청했다.
그가 누구인가. 춘천 태생으로 강원일보와 매일경제신문, 국민일보와 경향신문에서 지천명(知天命)이 넘도록 편집쟁이로 산 사람 아닌가.
(현재 한국언론재단 교수)
스스로 목수라고 자칭할 정도로 손재주가 남다른 사람. 인자한 얼굴과는 달리 편집만큼은 카리스마가 철철 넘치던 사람. 사람을 좋아해 후배와도 이른 새벽까지 술자리를 내달릴 줄 알던 주성(酒聖). 그는 '편집의 거성' 함빠꾸(함정훈 국장)의 수제자이기도 하다. 후배들이 제목과 레이아웃을 달아오면 여지없이 '빠꾸'를 시킨다고 해 붙은 함빠꾸 선생의 애제자였던 것. 그는 편집의 달인이었다. 그는 헤드라인 공장장이었고 사진 에디터였으며, 디자이너였다. 제목을 다는 기술과, 사진을 보는 안목과, 신문을 만드는 방법을 꿰고 있었다. 신문을 만들 때면 무서우리만큼 천착했고, 일등을 향한 끝없는 도전정신을 보여주었다. 그러한 노력은 2002 월드컵에서 빛나는 저력으로 나타났고 후배들로하여금 편집을 사랑하게 만들었다. 광화문 광장으로 뛰어나가 호외를 뿌리던 편집기자들을 행복하게 했다.

언젠가 퇴사를 결심한 나의 누추한 집을 찾아온 적이 있다.
영화처럼 비가 내렸다. 눈물처럼 비가 내렸다.
후배 몇몇이서 선술집에 모여 들었고 우리는 빗소리에 울음을 감추고 소나기처럼 마셔댔다. 그는 나의 통장 잔고를 걱정했고 나의 아내와 자식을 걱정했다. 그는 편집의 대선배였고, 회사의 CEO였지만 뜨거운 눈물로 가족애를 보여주었다.
나는 다시 그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는 회사에 간이 목제침대를 만들어놓고 기거하면서 일을 했다. 그는 내 인생에서 알바트로스의 희망을 안겨준 사람이다.


<알바트로스.....>

알바트로스는 봉황이나 불사조 같은 새와는 달리 실재하는 새. 어떤 독수리, 어떤 갈매기보다도 멀리 그리고 높게 나는 새이다. 알바트로스는 알에서 깨자마자 바닷물에 떠다닌다. 당연히 비행법을 채 익히지 못한 알바트로스의 새끼들은 흉포한 표범상어들의 표적이 된다. 그러므로 알바트로스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상어의 이빨에서 벗어나려고 필사의 날갯짓을 하게 된다.

대부분은 파도 위에서 퍼덕이다가 비행에 성공하지 못하고 상어의 먹이로 짧은 생을 마치게 되지만 구사일생으로 날갯짓에 성공을 하여 하늘로 떠오르는 녀석들이 있다. 이 최초의, 죽음의 비행에 성공한 알바트로스의 새끼들만이 강한 날개와 그 날쌘 비행술을 타고난 천재들만이 비로소 왕양한 하늘과 바다의 자유를 허락받게 되는 것이다.

생 명과 함께 치열한 비행의 모험을 동시에 타고난 이 알바트로스들의 드라마는 조나단의 그 미지근한 <갈매기의 꿈>과 비길 것이 못된다. 그렇기 때문에 보들레르가 시인의 운명을 발견했던 것은 갈매기가 아니라 알바트로스였다.(이어령의 '말속의 말')


 

나는 날고 싶어졌다.
어릴 적 꿈에 자주 날았던 그 창공을 다시 기억해냈다. 부러졌던 마음속의 날개를 다시 찾았다. 날개는 퇴화한 것이 아니라 진작부터 날개가 없었던 것이다.
...........

Albatros

골 퍼들의 꿈은 홀인원이지만 그것보다도 더한 것이 알바트로스. 600m 가량의 필드에서 단 두 번만에(규정타는 다섯 번) 맥주 컵만한 홀 안으로 공을 집어 넣어야 비로소 알바트로스가 된다.(골프는 양떼를 몰고 다니는 목동들의 놀이에서 유래된 것이라나...목동의 지팡이가 골프채가 되고 돌이 골프공으로 변하고 토끼굴과 같은 것이 홀컵이 된 셈). 한 개를 적게 치면 버디(birdy)가 되고 두 개를 더 적게 치면 이글(eagle)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 한계라고 할 수 있는 세 개를 더 적게 치면 드디어 그 알바트로스라는 것이 등장하게 된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