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9.17 쟁이

쟁이

2008. 9. 17. 20:07 from 사는이야기

黑과 白, 깨알같이 박힌 마음의 행간.

텍스트는 도망가지 못하는 생각의 박제라네.

터럭 빠진 여백의 이랑에 흐르는 흑백의 발자국.

분단시대 지병 앓듯 지면은 고독한 유배지.

화톳불처럼 튀는 희로애락 담고

톡톡 튀는 사람들 천의 얼굴 싣고

때로는 치다꺼리, 때로는 푸닥거리

열 손가락 자수에 담아야 하는 고독한 수학자.

마치 외로움의 봇짐을 풀어놓듯

미완의 여백에 써내려 가는 외경의 작업일지.

재단사처럼 자르고 붙이고

작명소처럼 짓고 따지고

족집게처럼 뽑고 갸름하고

설계사처럼 나누고 쪼개고

헤드라인 공작실은 불온한 응급실.

허구한 날 앉아서 생인손 앓도록 마름질하고

그러다가 생각의 굳은살들이 찢겨

시장통 생선같이 널브러지면 그것이 데드라인.

오이디푸스도, 엘렉트라도 막지 못하는 고집스러운 콤플렉스.

그래도,

거마비 받고 악기 부는 악사는 아냐.

꺼지는 한이 있어도 드러눕지 않는 불꽃처럼

외설스럽더라도 발정하지 않은 만다라처럼

때로는 비뚜름해도, 때로는 고루해도

옹이 같은 아픔을 지우듯 딸깍발이 생은 간다.

그렇다고 덧칠하지 마. 그렇다고 자기네 생까지 편집하진 마.

잡티 묻은 채로 그냥 사는 거야.

쑥부쟁이 꽃대같이.

호화판 모꼬지는 없어도 비럭질하는 떨거지는 안 되게.

도돌이표 아침 해가 오늘도 하염없이 밝았으니.


☞“ 신문은 편집이다.” 편집기자 15년 동안 1000번은 들었다. 그 1000번의 되새김은 ‘존심’이었다. 외골수 같은, 스스로를 외통수에 놓는 느낌이었지만 그 외고집, 편집증(paranoid)적인 편집이 좋았다. 편집자는 연기와 불꽃이다. 서명이 남지 않는다. 한번 손을 대고 그 손을 놓는 순간 끝이다. 편집 대선배 한인섭 국장이 강조하던 긴장과 이완의 연속이다. 수많은 기사와 수많은 사건을 대하면서 인생을 배우고 사람을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 그러나 편집을 하면서 1000명의 사람을 만난 것을 더 행복하게 생각한다. 그 1000명은 편집기자로 1만여 판을 짜면서 사귄 자산이다.  그 중 서로의 팬으로써 지지하고 아껴주는 사람은 50여 명. 산에서, 직장에서, 술집에서, 운동장에서 우정을 나눈 참벗이다. 옷깃만 스쳐도 다쇼(多生), 전생의 인연이다. 그러나 사 람으로 태어나는 것보다 사람으로 사는 것이 더 어렵다. 사람답게 사는 것이 더 어렵다. 뜻이 맞지 않는 사람을 피해가기가 먼저 어려운 일이고, 그 사람과 악연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기가 또 어려우며 결국 잘못된 인연으로 후회하지 않기가 제일 어렵다. 그들은 후회하지 않게 만든다. ‘현재까지는’이라는 전제가 필요치 않다. 내가 아프고 힘들고 ‘술이 필요할 만큼’ 외로울 때 그들은 달려와 술이 되고 말이 되고 어깨동무가 된다. 그들은 우정을 나누었고 일을 나누었다. 세상 돌아가는 흐름 속에서 그 흐름을 꿰뚫는 방법을 배웠으며 읽는 자와의 호흡을 또한 배웠다. 편 집을 사랑하기 시작하면서, 편집에 대해 열병을 앓게 되면서 매일 매일이 두근두근거렸다. 지적 호기심이 일었다. 그 호기심은 영혼의 비타민 같은 거였다. 하루하루를 여백에 채우고 그 여백에 장식과 장치와 눈물과 감동을 버무렸다. 아침 식탁위에서 읽는 이로 하여금 하루를 여는 비타민이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신 문사 편집국은 활어회 시장 같은 곳이다. 생선처럼 펄떡펄떡 뛴다. 싱싱하다. 그 싱싱함은 정신에서 오는 거라고 단언한다. 1면서부터 마지막 면에 이르기까지 숱한 정신이 ‘+-’ 전극의 충돌로 살아난다. 그 생선은 팔딱거리면서, 독자를 향해 내달린다. 그 전쟁터에서 살다보니, 그 우정은 전우애와 닮아서 더욱 진하고 아름답다. 잉크냄새 폴폴 풍기며 윤전기가 돌아가면 그 뒤는 술이다. 회포다. 그리고 다음 날도, 그 다음 다음 날도 똑같은 수명을 소진한다. 뛰며 펄떡이며 총알이 빗발치는 전장에서 살아간다. 그 전우들이 함께 한다는 건 행복한 일이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