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01.jpg


백제역사유적지구(이하 백제지구)에 대한 지역 학교들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백제지구가 오는 7월을 기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주년을 맞는 등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정작 도내 초·중·고교 학교들은 수학여행지로 백제지구를 외면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27일 충남도와 충남교육청 등에 따르면 올해 수학여행을 예정하고 있는 도내 초·중·고교는 544개교이다. 이 중 백제지구를 찾는 도내 학교는 단 4개교(천안2, 아산1, 당진1)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15년과 지난해에도 백제지구를 찾은 도내 학교는 각각 3개교(천안1, 아산1, 청양1)와 6개교(천안3, 서산1, 당진1, 서천1)에 그쳤다.

도 차원에서 일본 및 타 지역 수학여행단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지역 학교의 관심과 지원없이는 반쪽짜리 정책에 그칠 우려가 크다.

지역 학교들이 백제지구를 수학여행지로 활용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지난해 경주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국내 최대 수학여행지로 꼽히던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명성이 떨어졌고, 올해 초 사드 여파로 중국으로 수학여행을 떠나려했던 학생들도 연기·취소를 결정하면서 백제지구가 대안으로 떠오른다는 점에서다. 

도내의 경우만 떼놓고 볼때도 지난해 경주 지진으로 당시 경주로 수학여행을 떠나려했던 79개교(6000명)가 경주행을 포기했고, 올해 초 20개교가 사드 여파로 중국행을 포기한 바 있다.

충남도와 백제지구도 학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숙박, 관광, 오락, 체험시설 강화 등의 자체적인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 공주·부여 백제지구 주변에 300명 이상의 수학여행단을 유치할 수 있는 숙소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공주의 경우 계룡산갑사유스호스텔, 공주유스호스텔, 한옥마을 10여동에 불과하고, 부여 역시 부여군유스호스텔, 부여군청소년수련원, 부여삼정유스호스텔, 부여관광모텔 등에 불과한 실정이다.

오락·체험시설 등 관광자원의 부족 문제도 백제지구 수학여행단 유치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홍성지역의 한 초등학교 관계자는 “솔직히 수학여행이 교육과 함께할 오락·체험시설이 충분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경주역사유적지구와 비교해도 턱없이 부족한게 현실”이라며 “프로그램이 반나절이나 하루면 충분히 돌아볼 수 있는 내용이다보니 수학여행지로 선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김명석 기자 hikms12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백제왕국 700년의 역사와 문화를 생생히 체험할 수 있는 '제54회 백제문화제'가 내달 3일부터 12일까지 충남 부여군과 공주시 일원에서 동시에 개최된다. 축제가 열리는 10일 동안 총 예산 83억 원이 투입되는 등 국내 최대 규모의 역사문화축제로 그 시대에 온 것 같은 신비로움과 짜릿함, 볼거리들이 가득하다. 각 프로그램마다 해당 분야 전문가(PD)들이 투입돼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주력함으로써 아이들의 역사 교육은 물론 축제의 즐거움을 배가했다는 평가다.

 

 
전국 축제 사상 유래 없는 많은 자원봉사자(2500여 명)가 참여해 관람자들이 축제를 100% 즐기도록 도울 예정이며, 축제의 외연을 확대 '기지시 줄다리기' '국제문화 교류촌'을 운영하는 등 '전 도민의 축제' 그리고 '세계적인 축제'로의 도약을 모색하고 있다. 일방적인 보여주기 식 축제에서 탈피, 각 프로그램마다 관람객 참여의 폭을 넓혔고, 번뜩이는 아이디어 및 이색적인 체험도 준비돼 있다.

이런저런 이유로 세간의 화제를 모으고 있는 제54회 백제문화제! 10일 동안 열리는 역사, 문화 그리고 즐거움의 대향연은 과연 어떻게 펼쳐질지 미리 둘러보자. 그리고 즐거움이 가득한 축제의 현장 속으로 뛰어 들어가 보자.


▲대표 프로그램에 집중하자


부여군 구드래 주 무대에서 펼쳐지는 화려한 개막식을 시작으로 역사에 남을 축제의 향연이 시작된다. 대백제의 700년 역사 탐험이 시작되는 것이다. 10일 동안 선보일 수많은 프로그램을 접하게 되면 '이것을 어떻게 다 소화할까' 고민하기 쉬운데 이른바 대표 프로그램에 집중한다면 그 고민의 무게는 다소 가벼워진다.

   
백제의 생활과 예술, 역사, 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바로 '백제향'이다.

초가, 기와, 너와집 등 전통가옥 형태로 조성된 공간에서 탁본, 민속놀이체험, 크로마키체험 등을 통해 700년 백제를 몸으로 느낄 수 있다. 흔히 체험프로그램이라면 아이들이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어른들의 관심을 끄는 프로그램도 많아 온 가족이 추억을 남길 수 있다.

'국제문화 교류촌' 역시 꼭 들려봐야 할 대표코너이다. 캄보디아,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 베트남 등 백제 교류국의 문화와 생활모습 등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 맛체험과 공연관람이 가능하다.

   
축제의 재미를 높여주는 것은 뭐니 뭐니 해도 '퍼레이드'이다. 축제가 말하려는 것과 상징, 그리고 역동성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부여 및 공주 시내를 축제의 도가니 속으로 빠져들게 할 각종 퍼레이드는 백제문화제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제54회 백제문화제에서는 '교류왕국 대백제' '대백제 기마군단 행렬' 등 퍼레이드와 '황산벌 전투 재현' '백제국 마장예술' 등의 퍼포먼스가 관람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묵어가야 가야 제대로 즐긴다.


제54회 백제문화제는 축제 그 이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단순한 역사 재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도민의 화합, 지역경제 활성화 등 숨은 의미들이 많다. 짧은 시간 거쳐 가는 축제에서 탈피하기 위해 야간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했는데 '백제문양 불꽃쇼' 등이 그것이다. 우리의 전통문양으로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쇼는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울 수밖에 없지 않을까.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축제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하루 정도는 묵어가는 것이 좋다. 축제를 총괄하고 있는 백제문화제 추진위원회에서는 체류 관람객들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숙박업소 및 음식점을 완비했으며, 깨끗한 이동화장실 등 각종 편의시설도 대폭 보강했다.

   
둥! 둥! 둥!

많은 이들이 기다려온 제54회 백제문화제가 이제 10일 앞으로 다가왔다. '700년 대백제의 대백제의 꿈'이 펼쳐질 시간이 임박한 것이다. 일상의 무료함을 탈피 그 역사의 현장에서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길이 남을 추억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문의 041-857-6955

   김항룡 기자 prime@cctoday.co.kr



 [인터뷰]한찬희 백제문화제 추진위원회 사무처장
"웅장하고도 즐거운 축제만들터"

국 내 최대 규모의 역사문화축제 그 뒤편에는 성공적인 축제를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 있다. 한찬희 사무처장을 비롯한 백제문화제 추진위원회 사무국 직원들이 그 주인공이다. 성공적인 백제문화제를 위해 24시간이 모자라기만 한 그들의 이야기를 한찬희 사무처장을 통해 들어봤다.

   
▲ 한찬희 백제문화제 추진위원회 사무처장
-백제문화제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왔는데.


"축제가 임박한 만큼 마지막 남은 총력을 다하고 있다. 평가는 결국 주민들과 관람객들에 의해서 이뤄지겠지만 '웅장하고도 즐거운 축제'라는 느낌을 받고 갔으면 한다. 이를 위해 마지막 점검을 하고 있으며 특히 지난해 문제점으로 지적된 점을 대해 대폭 보완하는데 모든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와 달라진 점은.

"먼저 규모면에서의 성장을 꼽을 수 있다. 사업비가 40억 원에서 83억 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기간 역시 5일에서 10일로 늘어났다. 관람객들에게 즐거움, 감동을 주기 위해 신규프로그램 및 야간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했고, 프로그램별 전담 PD제를 실시 내실을 기하는데 주력했다. 관람객들의 많은 참여만 더해진다면 분명 성공적인 축제가 될 것이다."

-어떤 프로그램이 있나.

"많은 프로그램들을 일일이 설명하기는 쉽지 않지만 '백제 향', '국제문화 교류촌', '황산벌전투 재현' 등 대표 프로그램은 꼭 참여하고 갔으면 한다.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이겠지만 정말 기대하셔도 괜찮을 것이다."

-관람객들에게 부탁하고 싶은 것은.

"하루 24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관람객들의 입장에서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지만 여건상 다소 부족함도 분명 있을 것이다.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시고 나빴던 점보다는 좋았던 점들을 보다 많이 마음에 담고 갔으면 한다."  

김항룡 기자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