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01.jpg
▲ 사진 = 충청투데이 DB

대전지역 인구 150만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도안호수공원 3블럭 및 도시정비사업을 시작으로 하반기 굵직한 분양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대전지역 인구 타지역 전출수가 서서히 줄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통계청의 올해 국내인구이동자료에 따르면 타시·도 이동자수를 나타내는 대전 순이동은 인구 150만이 무너졌던 지난 2월 2300명의 시민이 대전을 빠져나갔으나 이후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하반기 들어 대전의 순이동 감소폭은 눈에 띈다. 지난 6월 600명이 대전을 떠났음에도 지난 2월 대비 큰 폭으로 떨어진데 이어 지난 7월에는 전입자대비 전출자수가 100명으로 인구 감소폭을 크게 줄여나갔다. 아직까지 타 시·도 전출이 전입보다 많지만 올 하반기 들어서 전출이 줄어들고 전입은 늘고 있다는 의미로 대전 인구 상승에 대한 기대를 걸게 하고 있다.

반면 세종은 지난 2월 4700명의 시민이 늘어난 이후 완연한 감소세다. 지난 6월 2500명의 인구가 늘어났지만 지난 2월 이후 절반 가까이 인구유입률이 감소한데 이어 지난 7월에는 2100명 유입으로 더욱 줄어들었다. 지표 상으로만 봤을 때 아직 대전 인구 유출 중, 세종 인구 유입 중이 성립되지만 그래프 흐름상 ‘대전→세종→대전’ 역리턴 현상이 진행 중이라는 업계의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대전시는 투자가치를 확보한 아파트의 안정적인 공급이 뒷받침 되지 못하면서 시민의 세종 역외 유출을 원인으로 지목 받아왔다. 마지막 핫플레이스로 여겨졌던 2013~2014년 죽동 분양을 마지막으로 대전에서는 투자가치를 확보한 아파트 분양이 사실상 종적을 감추면서 이때부터 인구 하락폭은 커져만 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언이다.

그러나 아파트 분양가 상승과 각종 부동산 규제가 집중되는 세종시와는 달리 올해 초부터 수요대비 공급이 부진했던 대전지역에 굵직한 신규 아파트 및 도시정비사업지 분양이 활개를 치면서 ‘Since 150만 인구도시 대전’에 대한 청사진이 그려지고 있다.

실제 대전지역은 이달 중후반 대덕구 신탄진동일스위트로하스(분양 1757가구·임대 566가구) 분양을 시작으로 오는 12월 상대아이파크(2500여세대) 및 목동3구역(일반 740세대) 등 아파트가 분양을 예고하고 있다. 

현미경 부동산 규제에 따른 제재가 잇따르지 않고 지자체마다 각종 개발호재가 수면위로 오르며 대전지역 수요자(투자자·실거주자)들마다 제각각 수준에 맞는 청약 채비를 갖추고 있는 분위기까지 조성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 한 관계자는 “대전시는 2013년도 말 153만 2800여명을 정점으로 지난 2월 150만이 무너지는 상황에 맞닥들였으나 구별 핫플레이스 지역들이 도시정비사업으로 분양을 알리고, 잠잠했던 도안지역에 굵직한 신규분양이 열리고 있어 150만 인구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올해 하반기 도안지역에 주목할 만한 분양이 예고됨은 물론 도시정비사업 공급 신호들이 이어지고 있어 인구 150만 회복세는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가시화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최정우 기자 wooloos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
2006년후 27곳…6개 참여, 현행 고시안 재정비 요구커

대전시가 야심차게 내놓은 도시정비사업의 뼈대가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이끌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최근 대전시가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참여하는 지역 건설업체를 배려하기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를 확정했지만 실효성 논란에 휩싸이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대전시는 지역업체가 80%의 도급하는 경우 최대 20% 용적률을 주자는 계획을 골자로 최고의 시너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했다. 그러나 대전시는 지역 업체가 20%이상 도급에 참여할 시 용적률 인센티브 5%를 주고, 지역 업체의 도급비율이 늘어나면 최대 17%를 더해준다는 내용을 최종 고시하면서 '파격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며 스스로 위안을 삼았다.

슬라이드뉴스1-건물철거.jpg
▲ 사진 = 충청투데이 DB

이러한 대전시의 결정은 2006년부터 올해 2월까지 대전시 정비사업(총 27곳)에 지역업체 참여는 고작 6개 사업에 불과한 점에 기인한다. 이마저도 지역에 근간을 두고 있는 평균 1~2개(최대 3개) 건설사 들만 도시정비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요건을 갖출 뿐 이하 중소 건설사들은 그림의 떡인 상황이다.

실제 2013~2014년 목동3구역(933세대), 용문1·2·3구역(2788세대)에서 포스코와 계룡건설이 공동참여를 했으며, 2016년 도마·변동1구역(1926세대) 금성백조에 이어 지난해 다우건설이 선화동(997세대), 홍도동1(445세대), 가양7(260세대) 참여하는 등 지역업체 비율이 15.7%에 머물고 있다. 최근 대전 중견건설사 금성백조주택도 '용적률 혜택'이라는 든든한 지원책을 기반으로 저렴한 공사비, 많은 이사비와 고품질의 무상제공 품목으로 대기업 미라클사업단과 승부를 펼쳤지만 150여표 차이로 고배를 마시며 저조한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낮추는데 한 몫해 아쉬움을 낳고 있다.

이와 관련 지역 건설업계는 향토건설사들의 참여를 독려해야 일거리 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며 현행 고시안에 대한 재정비를 촉구하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 한 관게자는 “대전시가 파격적으로 내놓은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 사업의 뼈대는 부산과 대구 등은 지역 업체가 공동도급 형태로 사업에 참여할 경우 비율에 따라 최대 20%까지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며 “대전시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도급참여 비율에 따른 인센티브 제시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정우 기자 wooloos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