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은 전립선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인종과 거주지역에 따라 그 발생률 및 사망률의 차이가 큰 종양이다. 전립선암의 발생률은 흑인이 가장 높고, 미국 백인이 중간이며 동양인이 가장 낮다. 미국의 경우 전립선암은 남자에서 가장 흔한 암이며, 암에 의한 사망의 두 번째 원인 질환이다. 지난 2008년 보건복지부 통계 발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암 중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와 생활습관의 변화 등으로 발생률과 신 환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남성의 전립선암은 지난 1999년에 비해 2008년 기준으로 연간 13.5%의 발생률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국가 조기암 검진사업의 활발한 활동 및 건강검진의 증가 등에 힘입어 조만간 전립선암의 발생이 서구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리라 예상된다.

 

   
▲ 과거에는 대부분의 전립선암 환자가 고령이었기에 수술 후 발생하는 발기부전 등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으나 최근 40~50대 젊은 환자의 급증과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성기능 후유증이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사진은 수술 후에도 ⅔정도의 성기능 보존이 가능한 최신 신경보존술식 전립선 적출술 시술 장면. 건양대병원 제공

◆전립선암의 발병 원인

전립선암의 발병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전립선암은 해독작용을 하는 유전자의 이상이나 세포분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종양의 진행이나 전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이상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 인종, 호르몬, 가족력, 식습관이 서로 연관돼 전립선암을 유발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①유전적 인자

전립선암은 약 9%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립선암 환자와 형제인 사람은 정상인에 비해 전립선암이 발생할 확률이 약 3배 정도 높다. 또 가계 내에 전립선암 환자의 수가 많을수록 전립선암이 발생할 위험성도 커진다. 전립선암의 가족력이 있는 집안은 그렇지 않은 가계에 비하여 전립선암이 발생할 위험성이 8배 정도 높다.

②연령

전립선암은 연령에 비례 증가하며, 특히 50세 이후에 발생률 및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한다. 조직학적 및 임상적 전립선암의 유병률은 다른 어떤 암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히 증가한다. 이에 따라 향후 고령화 사회가 됨에 따라 전립선암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이다.

③호르몬

전립선은 안드로겐(androgen)이라는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장기이다. 정상 전립선 상피세포와 초기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은 남성호르몬에 의해 촉진된다. 쥐를 발암물질에 단기간 노출시킨 뒤 전립선암 발생율과 발암물질에 노출시킨 뒤 장기적으로 남성호르몬을 투여한 군에서 전립선암의 발생률을 비교하면 후자가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한다. 그러나 동물 실험의 결과와는 달리 인체에서 성호르몬이 전립선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밝혀져 있지 않다.

④식이

대부분의 연구는 특히 동물성 지방의 섭취와 전립선암과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다. 실험실 연구에 의하면 동물성 지방은 인체 전립선암 세포주의 증식을 촉진하고, 식물성 지방은 억제하며, 생선 기름은 실험동물에서 인체전립선암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한다. 현재까지의 많은 연구 결과는 칼슘의 과량 섭취가 전립선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비록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혈중 칼슘 농도가 증가하면 비타민D의 생산을 감소시켜 전립선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킬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립선암의 역학 분포의 특징은 적도에 가까운 지역보다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호발 한다는 점이다. 미국에서 전립선암에 의한 사망률은 비타민D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자외선 조사량에 반비례하며, 비타민D는 전립선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증식을 억제한다.

◆전립선암의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다. 전립선암이 확산돼 요도나 주위 조직을 압박하거나 침윤하지 않는 한 배뇨곤란, 방광자극 증상 등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전립선암이 어느 정도 발전한다면 몇 가지 증상들이 나타난다. 전립선비대증과 비슷한 배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빈뇨, 배뇨통, 지연뇨, 배뇨시간 연장, 잔뇨, 세뇨, 혈뇨 등의 증상이 그 예다. 직장이나 회음부에 불쾌감이나 중압감이 생길 수 있다. 만일 골 전이가 진행되면 골의 동통이 일어난다. 요추와 골반 뼈에 골 전이가 일어나면 허리 통증이 심해진다. 좌골 신경통에 시달리기도 한다.

◆전립선암의 진단

전립선암은 발생초기에는 주목할 만한 증상이 없다. 증상이 없다는 것이 초기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진단은 직장 초음파 검사가 유용하며, 암은 전립선 주변부(직장을 통하여 손가락으로 만져 볼 수 있는 부위)에서 시발하는 것이 75%정도여서 전립선 주변부에서 딱딱하게 만져지는 경결이 있으면 거의 틀림없는 전립선암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립선 주변부 이외의 부위, 즉 중앙부와 이행부에 발생하는 25%의 조기암은 손가락 촉진으로 확인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음파검사 및 전립선암에서 분비하는 종양지표 즉, 전립선 특이항원(PSA)을 혈액에서 검사하여 전립선암을 진단한다.

◆전립선암의 치료

수술이 가능한 시기에 발견된 국소전립선암의 최선의 치료법은 전립선을 모두 들어내는 근치적 전립선 적출술이다. 전립선 적출술을 시행하게 되면 발기와 관련된 신경이 수술 시에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 발기부전이 오는 경우가 많았던 게 사실이다. 예전에는 전립선암 환자의 대부분이 고령이었기 때문에 수술 후에 발생하는 발기부전 등에 대해 큰 비중을 두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40~50대의 비교적 젊은 전립선암 환자가 급증하고, 성기능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수술 후에 발생하는 발기부전은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큰 이슈가 됐다.

최근에는 발기능력과 관련된 전립선 주위의 신경혈관다발을 보존하는 수술방법이 적용되면서 발기부전 역시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아니라 극복될 수 있는 과제가 되고 있다. 또 최근 복강경이나 로봇수술이 도입되고, 전립선 주위 구조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서 보다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전립선 적출술을 시행하더라도 신경보존술식을 시행하게 되면 ⅔정도에서는 성기능 보존이 가능하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으리라고 본다. 다만 수술 후 발기 유무뿐만 아니라 발기상태에 대해서도 일시적인 장애가 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경구용 발기유도제 등을 복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전립선암은 일반적으로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으면 발병 6~7년 만에 사망하지만,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다면 90~100세까지도 살 수 있다. 전립선암은 다른 암에 비해 매우 너그러운 편으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면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전립선암은 뒤늦게 진단 됐을지라도 미리 치료를 포기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받을 필요가 있다.

도움말 = 건양대병원 비뇨기과 김진범 교수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